포천시, LH와 수요예측 불분명한 영북면에 주상건물 추진 논란

포천시와 LH가 수요예측이 불분명한 면지역에 공공청사를 겸한 고층의 주상복합건물을 건립키로 해 논란이다.

더구나 LH는 송우2지구 공공지원 임대주택지원사업에도 시행사로 참여했지만, 3년이 지나도록 지지부진한 가운데 또 총괄사업관리자로 참여, 실현가능성에 회의적인 반응도 나온다.

23일 포천시와 LH 등에 따르면 시와 LH는 영북 도시재생뉴딜사업(영북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인구 8천461명(지난 19일 기준)인 영북면서무소 부지에 주상복합건물을 짓기로 하고 지난해 11월3일 LH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LH는 영북 뉴딜사업 총괄 사업관리자로 참여한다.

시는 영북면사무소 부지와 인근 토지(4천89㎡) 등을 매입, 제공하고 LH는 지상 15층 주상복합건물(연면적 1만975㎡)을 건립한다. 주상복합건물 1층에는 영북면사무소, 2~3층에는 주민커뮤니티공간, 4∼15층에는 120세대 규모의 임대주택이 들어서며 LH가 위수탁사업을 맡는다.

이런 가운데, 지상물 철거와 폐기물 처리, 지상 건물을 제외한 지하주차장 설치비용 등은 시가 부담한다는 조항이 협약서에 포함돼 추후 논란이 예상된다.

실제 시는 뉴딜사업 공모에 공공기관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는 조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포천도시공사보다는 LH를 선택, LH 요구에 따라가는 입장이어서 비용부담을 더 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게다가 LH가 시행한 송우2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사업도 수익구조(5천40세대에서 3천768세대로 축소)가 나오지 않아 3년이 넘도록 지지부진한데다, 최근 타지역에서의 임대아파트 값싼 자재 사용 논란도 불씨가 되고 있다.

아파트 건설전문가 A씨는 “영북면 주상복합건물은 면지역이라는 취약성 때문에 수요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LH 관계자는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공공기관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아직 규모는 예측이지 확정된 건 아니다. 다만 LH가 참여했기 때문에 다른 공공기관보다 실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