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석면 남아있는 학교 23곳 학부모들 불안감 확산…올해 2곳만 해체

포천 청성초 석면제거공사

경기도 포천지역 23개교가 석면학교로 학생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석면은 1급 발암물질로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고 있으나 포천시교육청은 2019년 5개교, 2020년 5개교에 이어 올해는 단 2개교만 사업대상으로 선정, 불안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7일 현재 포천시에 석면학교는 23개교(초 11ㆍ중 6ㆍ고6) 남아있고, 이들 학교는 대부분 설립된지 30~40년이 지나 노후화로 공기 중 석면가루가 날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올해 석면해체ㆍ제거작업을 위해 2개교 2억3천만원만 배정, 지난 2019년 5개교 3억6천만원, 지난해 6개교 7억7천만원과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A씨(40)는 “석면이 있는 학교들은 대부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석면가루가 공기 중에 떠다니고 있을 것이란 우려는 누구나 할 수 있다”며 “오는 2027년까지 석면 학교 제거라는 교육부 방침이 정해졌다면 집중적으로 시행,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없애는 것이 맞지 않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천교육지원청 관계자는 “학부모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학교 석면 해체ㆍ제거 대상 학교 사전예고, 모니터단 및 학부모 대상 사전설명회, 모니터단 대상 석면 강화교육 등을 진행해왔다”며 “학교 석면해체ㆍ제거 작업은 도교육청이 우선순위를 결정해 예산을 배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머리카락 굵기의 5천분의 1에 해당하는 입자가 공기를 통해 인체 호흡기로 유입되면 잠복기를 거쳐 폐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폐암ㆍ석면폐증ㆍ중피종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