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지하철 6호선 연장안 관련 토론회가 열렸지만 민ㆍ민갈등만 부추기는 갈등 기폭제로 전락했다.
토론회라는 애초 취지와 달리 일방적 설명회로 그친데다 일부 참가 주민과 지역 정치인이 “전반적으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7일 남양주시와 화도읍 이장단협의회,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화도수동 행정복지센터에서 화도읍 이장협의회 주관으로 6호선 연장사업 관련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는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 교수와 강승필 한국민간투자학회장(교통기술사), 오철수 남양주시 교통국장 등 전문가들을 비롯해 화도ㆍ호평ㆍ평내지역 이ㆍ통장단과 노인회, 체육회, 주민자치위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이장호 남양주시 철도교통과장의 6호선 철도혁신 구상방안 설명에 이어 김시곤 교수와 강승필 회장 등의 발표, 질의응답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김 교수는 “6호선은 서울시와 구리시가 원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신내 차량기지를 외곽(남양주)으로 옮기고 현 차량기지를 개발하겠다는 복안이다. 구리시는 인근 차량기지가 없어지는 혜택을 노리고 있다. 특히 마석 연장의 경우 매일 1억원 상당의 손실이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또 전문가들은 남양주시가 ▲선 6호선 급행화, 후 6호선 연장 ▲6호선 연장사업 건설비 최소화, 운영적자 최소화방안 마련 ▲경춘선ㆍ분당선 연결 방안 등을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온라인 카페 ‘화도사랑’ 측과 문경희 경기도의회 부의장 등은 ‘소통 부재’를 지적하며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신진영 화도사랑회장(27)은 “신내 차량기지 매각비용(8천600억원)과 관련, 마석안에는 포함되지 않은 반면 양정안에는 포함돼 마치 양정안이 적절한 것처럼 알려지고 있다. 오늘 토론회는 중립적이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문경희 부의장은 “두 안에 대해 비교조차 하지 않고 변경안을 마련하는 등 남양주시 행정은 첫 단추부터 잘못 뀄다”며 “주민들의 타당성 용역 조사결과 비교 요구는 무리한 게 아니다. 시는 이를 반영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오철수 국장은 변경안을 경기도와 협의하지 않았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서울시 주관 회의에 도 담당자가 불참했고 이후 협의에선 만나주지 않았다”며 “대안 노선에 대한 의견이 담긴 문서를 경기도에 보냈고, 도지사 결재를 거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