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대기환경청은 내년에도 3천948억원을 지원, 수도권 노후 경유차 18만대에 대해 저공해조치를 시행한다.
앞서 지난해는 17만대에 대해 저공해 조치를 완료한 데 이어 내년도에도 3천948억 원을 지원, 총 18만대에 대해 저공해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30일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따르면 올해 4천558억원(국비 2천469억원, 지방비 2천89억원)을 지원, 수도권에 등록된 5등급 경유 자동차 17만대에 대해 저공해 조치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45만대였던 저공해 미조치 5등급 경유차가 28만대로 감소했다.
시ㆍ도별로는 서울시가 4만4천대, 인천시 1만9천대, 경기도 10만8천대 등이다. 내용별로는 조기 폐차 10만대,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6만9천대, LPG 화물차 신차 구매 2천대 등이다.
이런 가운데 내년에도 3천948억원(국비 2천216억원, 지방비 1천732억원)을 지원, 노후 경유차 18만대를 저공해 조치한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2만9천대, 인천시 1만5천대, 경기도 14만대 등이다.
조기폐차사업을 통해 노후 경유차를 폐차한 뒤 신차를 구매하면 최대 300만원에서 최대 3천만원까지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통해선 장치 종류에 따라 166만원에서 1천771만원을 보조금으로 지원한다. 사업에 참여하면 운행제한 대상 제외와 함께 3년 동안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클리닝과 요소수 비용 등 차량 유지관리를 위한 사후관리비용도 지원된다. 성능유지 확인검사에 합격하면 3년 동안 배출가스 검사가 면제된다.
수도권대기환경청 관계자는 “수도권 미세먼지 배출량 중 노후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6%다.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해 노후 경유차에 대한 조치가 시급하다. 조기 폐차를 통해 5등급 경유차를 조기에 퇴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