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수영 예산은 삭감
안산시의회가 초등생을 상대로 교육하는 생존수영 예산 등은 삭감하고, 보도 및 경계석 유지보수 등 시급성을 요하지 않는 예산 23여억원을 ‘셀프 증액(?)’해 비난을 사고 있다.
8일 안산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코로나19로 위축된 민생안정을 위주로 1조9천여억원의 예산을 편성, 시의회에 상정했으며 상임위별 예산 심의를 벌이고 있다.
세월호 참사에 따른 아픔이 아직도 가시지 않은 안산시는 내년 예산을 편성하면서 호수공원에 개장한 야외수영장을 활용, 6개 레인과 겨울철에 대비 에어돔을 추가 설치, 초교 3년생에서 6학년까지 생존수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총 4억원을 들여 ‘생존수영 체험 전용수영장 조성 관련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추진하려 했다.
그러나 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국도비를 확보한 뒤 시행’하라며 생존수영 용역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또한 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신안산선 개통을 앞두고 노약자 및 몸이 불편한 이용객 등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지하철 4호선 중앙역 지하보도 승강기(에스컬레이터) 설치사업비 7억4천500만원을 전액을 삭감했다.
이어 집행부에서 상정하지 않은 주택과에 공동주택사업 예산 3억원을 별도로 증액하는가 하면 단원구 근린공원 잔디유지 및 수목관리 예산으로 2억2천만원을 상록구 건설행정과에 보도 및 경계석 유지보수 예산 2억원을 추가 증액하는 등 총 23억4천200여만원을 증액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사전에 집행부와 협의도 없이 시의회가 예산을 증액한 것은 문제가 있다”며 “예산이 부족,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꼭 필요치 않은 부분의 예산을 증액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시의회 관계자는 “주민들이 필요로하는 사업에 분야에 대해 상의를 한 뒤 예산을 편성할 수 있도록 했다”며 “상임위의 예산 심의는 예비 심의이기 때문에 편성권과는 상관이 없으며, 확정된 예산이 아니고 예결위와 본회 등을 거쳐야 하는 절차가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