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하 서울청)이 무산된 교차로에 수천만원을 들여 신호등을 설치, 막대한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서울청, 포천시, 주민 등에 따르면 서울청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된 43번 국도 의정부~포천 소흘 간 도로 확·포장공사를 마무리하면서 기존 교차로 2곳(이가팔리. 초가팔리)을 폐쇄했다. 이어 교차로가 없어 활용되지 못한 도시계획도로와 연결, 새로운 교차로를 신설해 하나로 통합하려다 주민들과 상인들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무산됐다.
그러나 서울청은 교차로 신설을 기정 사실화하고 6곳에 예산 수천만원을 들여 신호등을 설치했다. 현재 설치된 신호등은 주기가 들어오지 않은 채 먹통으로 방치돼 오히려 차량흐름에 지장을 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서울청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던 교차로 신설은 없던 일이 되면서 70여m에 이르는 도로부지 매입에 이어 무용지물이 된 신호등 설치 등으로 막대한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청 관계자는 “교차로 신설과 함께 신호등 설치가 이미 계획돼 어쩔 수 없었다. 설치된 신호등은 포천시가 추진하는 고모IC∼송우IC 간 도로확장공사 때 교차로가 신설될 예정이어서 그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포천시 판단은 다르다. 고모IC∼송우IC 간 도로확장공사가 설계 발주단계에 있고 공사는 오는 2022년 착공될 예정이다. 더 큰 문제는 이 도로확장공사가 착공돼도 주민들과 상인들의 반대로 무산된 교차로 신설이 다시 가능하겠느냐는 점이다.
교차로 신설 반대를 주도했던 주민 이채혁씨(69)는 “서울청이 마을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교차로 신설을 강행했다 무산됐다. 교차로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부지 매입과 신호등 설치 등으로 예산 낭비만 초래했다“며 “철저한 감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천시 관계자는 “설계가 시작되면 교차로 설치문제에 대해 주민 의견과 공청회 등을 걸쳐 결정해야 하는만큼 현재로선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