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아침] 항공MRO와 국민안전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빈사 위기에 처한 국내 항공업을 구하고자 추가 지원에 나섰다. 이참에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가 항공MRO(정비·수리·분해조립) 사업 등도 지원할 수 있도록 공항공사법 개정도 추진한다. 고무적인 일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7일 열린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고용·경영 안정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항공산업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항공산업의 체질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하반기까지 양 공항공사가 공공기관으로서 항공산업 생태계 육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법 개정에 나선다는 거다. 하지만 경남지역의 반발이 거세 인천시민의 합리적 여론이 절실하다.

인천국제공항은 지난해 기준으로 국제여객 연 7천만명으로 세계 5위, 일일운항 1천100편의 메가 허브공항이다. 그러나 항공기 정비 미흡으로 인한 지연·결항 등 비정상 운항 건수가 지난 5년간 5천여건에 달했고, 지연·결항률도 연평균 10%씩 증가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세계 항공운송 규모는 세계 6위지만 우리 항공기의 정비물량 절반 이상은(2018년 기준 54%, 1.4조원) 해외에서 정비·수리를 받고 있다.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국부 유출도 막대하다. 결국 인천공항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대규모 항공MRO 클러스터가 조성돼 공항을 이용하는 각국 항공기에게 ‘근거리 통합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 줘야만 한다.

최근 하영제 국회의원(국민의힘·경남 사천·남해·하동) 주최 토론회에 발제로 나선 국토부 첨단항공과장은 국내 공항별로 MRO와 관련한 역할을 나눌 거라고 발표했다. 사천공항은 기체 중정비, 김포공항은 LCC(저비용 항공사) 경정비, 인천공항은 글로벌 MRO업체 유치(화물기 개조, 엔진업체 등)로 분담하는 한편 정비 기술을 키우고, 물량 확보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남지역 정치권은 중복투자, 국가균형발전 역행, 수도권 쏠림현상 등을 주장하며 연일 공사법 개정에 반대하고 있다.

이에 인천주권찾기 조직위원회는 국민 안전은 지역감정을 앞세운 ‘제 밥그릇 챙기기’와 타협할 사안이 아니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인천시장과 남중권발전협의회 9개 자치단체장이 만나 상생 발전방안을 찾으라고 제안했다. 이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공항공사법 개정을 비롯해 공정한 ‘공항경제권 시범공항’ 선정, 리쇼어링(해외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업체 유치를 위한 인천공항·인천신항 자유무역지역 지정 확대, 인천시의 공항공사 지분 참여 및 사외이사 추천권 확보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국민 안전과 항공 주권을 지키려면 인천 주권부터 찾아야 한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