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지역간 갈등 ‘폭풍전야’…시를 나누자는 주장도

남양주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지역발전과 소외문제 등을 놓고 민민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10일 남양주시와 각 지역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각 지역 일부 주민들이 지하철노선과 기반시설 등의 문제로 서로 공격적인 주장을 주고 받으면서 이전투구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이들은 지역소외론과 지역이기주의론 등을 내세우고 있다.

지역소외론은 시의 모든 행정력이 다산신도시와 왕숙신도시 등으로 집중돼 여타 지역이 소외받고 있다는 주장이다. 지하철노선, 관공서, 기반시설 등이 신도시에 지나치게 편중돼 시 외곽은 계속 뒤처지고 있다는 것이다.

북부권 커뮤니티 관계자는 “주요 시설이 각 지역에 골고루 배분되지 않고 있는데도 신도시 주민들은 이미 계획된 시설은 물론 다른 시설까지 끌어가려고 한다”면서 “더 큰 문제는 시의 소외지역에 대한 비전 제시조차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에 신도시 주민들은 정부와 시의 정책이나 현실적인 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들의 지역에만 제반 시설이 들어와야 한다는 주장은 ‘지역이기주의’라고 맞서고 있다.

다산신도시연합회 관계자는 “소외론의 실체가 있는지 의문이다. 남양주 전체 발전을 보지 않고 자기 동네에 모든 시설이 들어와야 한다는 건 명분도, 현실성도 없는 주장”이라면서 “다만 남양주가 다핵도시에서 다산신도시와 왕숙신도시 등 거대 중심도시로 체질이 바뀌는 과정에서 일부 지역 주민들이 소외감을 느낄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갈등이 커지면서 시를 반으로 나누자는 주장까지 나왔다. 북부권 주민 A씨는 “남양주 각 지역별로 불만이 크고, 갈등의 불씨가 도사리고 있는 만큼 아예 시를 나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균형발전 측면에서 지역 간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남양주 전체 발전은 물론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해선 지역특성에 맞는 선택과 집중 등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부권 지역 커뮤니티 관계자는 “남양주는 지형적으로 4~5개 권역으로 갈리는 데다 국회의원 지역구도 3개로 나눠져 지역적 개성이 강하고 주민들 간 이견도 많다”며 “시장이 중심을 잘 잡고 각 지역구 국회의원과의 협의와 조율 등을 통해 지역별 숙원사업 등 각 지역에 맞는 예산과 시설을 투입,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양주=심재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