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의정부국도사무소 '먹통 신호등' 방치…경찰이 해결

“주먹구구식 행정” 논란

의정부 국도관리사무소가 8개월째 방치했던 먹통 신호등(본보 3일자 6면)을 경찰이 해결하는 등 국도관리사무소 업무가 사각지대로 전락,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9일 의정부 국도관리사무소(국도사무소)와 경찰, 주민 등에 따르면 국도사무소는 지난해 12월 포천시 영중면 성동5리 국도 43호선 수해복구공사를 마무리하면서 교차로 신호등 작동여부도 확인하지 않고 준공처리했다.

이 신호등은 영중면에서 영평천 다리를 건너 43번 국도로 진입하려는 운전자들에게 국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좌회전 신호를 주기 위해 신설됐다. 하지만 준공된 지 8개월이 넘도록 방치되면서 운전자들이 사고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됐었다.

국도사무소는 이에 지난 3일 시공업체가 아닌 의정부 신호등 보수업체에 신호등 작동 조작을 의뢰했다. 당시 경찰도 현장에 나와 신호주기가 정상으로 가동되는지를 지켜봤다.

하지만 보수업체는 끝내 신호등을 가동시키지 못하고 철수했다.

이에 경찰이 나섰다. 경찰은 우선 자체적으로 신호등 조작이 가능한 업체를 수배, 상황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다. 8월째 먹통인 신호등은 지난 4일 오전 정상 가동됐다.

경찰 관계자는 “국도사무소가 파견한 보수업체가 신호주기를 넣지 못하고 철수하자 당황스러웠다. 긴급하게 신호등 조작이 가능한 업체를 수배, 상황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했는데 흔쾌히 도와줘 신호등을 정상 가동할 수 있었다”며 “국도사무소가 준공 전에 충분히 협의했다면 이번처럼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중면 주민 A씨는 “국도사무소가 왜 신호등도 조작하지 못하는 업체에 공사를 맡겼는지 모르겠다. 준공 때 한번이라도 현장에 나와봤다면 8개월 동안 신호등 먹통으로 마음 졸이지 않았을 게 아니냐”며 “이제라도 신호가 정상 가동돼 안심된다”고 반겼다.

아직 미진한 부분도 남아있다. 43번 국도변에 거주하는 주민 10여가구가 이용하는 건널목 신호등은 버튼식으로 돼 있어 도로를 건널 때 보행자가 작동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러나 공사 전에 있었던 버튼 표지판은 공사 후 사라져 주민들이 혼란을 겪는 등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의정부 국도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현장을 확인해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