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국도관리사무소(국도사무소)가 포천시 영중면 성동5리 국도 43호선 수해복구공사를 마무리하면서 교차로 신호등 작동 여부도 확인하지 않은 채 준공 처리해 운전자들이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이 교차로 신호등은 공사 준공 뒤 8개월이 지나도록 먹통으로 방치되고 있다.
2일 의정부 국도관리사무소와 주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국도사무소는 지난 2018년부터 포천시 영중면 성동5리 영평천변 국도 43호선 수해복구 공사를 시작, 2여년이 지난 지난해 12월 준공됐다. 당시 국도사무소는 토목공사와 전기공사를 분리 발주하지 않고 토목업체에 전기공사(신호등 공사)를 맡겼다.
그러나 수해복구공사에 포함된 신호등 작동이 8개월째 먹통인 것으로 드러났다.
영중면 성동5리 교차로에 신설된 문제의 신호등은 영중면에서 영평천 다리를 건너 43번 국도로 진입하려는 운전자들에게 국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좌회전 신호를 주기 위해 신설됐다. 하지만 좌회전 신호주기가 작동되지 않아 운전자들은 좌우를 살피며 무단으로 43번 국도에 진입해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이곳은 왕복 4차선 직선 도로로 차들이 빠르게 달리는 구간이어서 언제든 대형사고 우려를 안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신호등 공사 후 남은 전선들을 신호등에 매단 채 방치돼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영중면 주민 A씨(53)는 “신호등에 좌회전 신호주기가 들어오지 않아 시청 방향으로 가려면 무단인 줄 알면서도 방법이 없어 국도 진입 시 항상 마음을 졸이고 있다”며 “현장 확인도 않고 준공처리해준 건 업체를 봐줬거나, 직무유기를 한 것이다. 반드시 사실 여부를 밝혀야 한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관련업계 관계자 B씨는 “애초부터 토목공사와 전기공사는 분리 발주하고 준공도 따로 처리돼야 한다”며 “신호등 신호주기를 넣는 방법은 전기 시공업체라고 모두 하는 건 아니다. 신호등공사를 시공한 업체는 신호주기를 넣는 방법을 모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의정부국도관리사무소 관계자는 “현장을 확인해 문제가 있다면 곧바로 시정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