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4호선 진접선 개통지연에 주민들이 반발(본보 14일자 9면)하는 가운데, 내년 5월 개통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와중에 남양주시와 서울시는 개통지연 이유를 놓고 뚜렷한 입장차를 보이며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19일 남양주시와 서울시,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4호선 진접선 개통이 운영협상 난항과 필수운영시설(비상차량용 대피용 보조선로 등)의 남양주시 이전문제로 최소 7개월 이상 미뤄질 전망이다.
시는 최근 열린 주민간담회에서 운영비 협상과 함께 서울시의 ‘4호선 진접선 개통 전, 창동차량기지 필수운영시설의 남양주 이전요구’를 개통 지연의 이유로 꼽았다. 시는 주민들에게 내년 5월 개통을 전제로 협상해왔으나 서울시의 우월적 지위로 개통지연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애초 필수운영시설을 받지 않을 방침이었다. 그러나 서울시가 필수운영시설이 이전되지 않으면 진접선 운행 대행과 9호선 강동역 남양주 직결 등을 거부한다고 밝혀 시가 곤란한 처지가 됐다는 것이다.
시는 이를 받지 않으면 서울시의 비협조로 남양주 전체 철도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4호선 연장은 물론 9호선과 4ㆍ8호선 연장, GTX-B 등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필수 운영시설이 남양주로 이전된다면 최대 7개월이 걸리는 인입부분 공사기간에는 시운전할 수 없어 개통 지연이 불가피하다.
이런 가운데 시는 운영비 협상에 대해선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고, 상당 부분 이견을 좁혔다고 주민들에게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여전히 개통 연기와 관련, 확정된 건 없다”며 “현실적으로 개통이 미뤄질 수밖에 없는 우려 사항을 주민들에게 알려 드렸을 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서울시는 여러 기관의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서 남양주시가 여러 운영 협상, 특히 서울교통공사와의 운영비 협상에서 난항을 겪는 점이 개통지연의 본질적인 이유라고 반박하고 있다. 개통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요인들이 많은데 모든 책임을 필수운영시설 이전을 요구한 서울시에 미루는 건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필수운영시설 이전문제를 떠나 개통지연과 관련, 우려되는 부분이 많다. 기본적으로 운영비를 포함한 운영협상이 완료돼야 하는데 잘 안되고 있다. 5호선 하남선 연장도 운영협상만 1년8개월이 걸렸다”며 “남양주시가 진접선 운영비도 버거워하면서 운영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데 연장 추진 중인 여타 지하철 연장선 운영비를 어떻게 감당하고, 협상도 어떻게 진행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유창재ㆍ심재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