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에 코로나19 고위험 국가에서 입국한 뒤 확진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통계분류체계 개선(본보 21일자 11면)이 요구되는 가운데 시가 해외유입 확진사례에 따라 확진자 분류체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26일 안산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확진자 집계는 중앙정부가, 관리는 지자체가 해야 한다’는 입장을 경기도와 질병관리본부에 건의했다.
이는 지역사회 확진사례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사회 접촉이 전혀 없는 해외입국자의 확진 판정으로 지역 내 확진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민들이 느끼는 불안감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질병당국은 확진자를 최초 인지한 지역 보건소가 환자 분류와 관리를 하도록 하고 있어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이나 국내 입국 직후 안산에서 자가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은 외국인 주민 모두 안산시 환자로 분류된다.
특히 다문화마을특구를 중심으로 많은 외국인 주민이 거주하는 안산은 외국인들의 선호도가 높아 앞으로도 많은 해외입국자가 찾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늘 우려가 있다.
이에 안산시는 자가격리 등 관리는 지역에서 하더라도 확진자 집계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치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경기도와 질병관리본부에 건의했다.
안산시 관계자는 “전체 확진자의 절반을 넘는 해외유입 확진자는 이달 초부터 급증해 지역사회 확진자를 앞지른 상황”이라면서 “시민들의 불안감과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집계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