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가 진행하고 있는 포천송우2 민간임대주택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공급촉진지구로 묶인 지 2년이 지났지만, 중앙도시계획심의위의 녹지비율 증가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말까지 지구계획이 수립되지 않으면 지구지정 고시가 철회될 가능성이 커 사업 무산 우려도 나온다.
포천시와 LH는 지난 2017년 6월 지역개발기본협약을 맺고 소흘읍 송우리 469일대 부지 38만4천197㎡에 5천여세대 민간임대주택을 짓기로 했다. 이듬해 2월 LH가 국토부에 공급촉진지구 지정을 제안, 지난 2018년 12월 지구지정이 고시됐다.
그러나 지구지정 전에 열린 중앙도시계획심의위(중도위)에서 지구계획과 관련, 녹지비율을 50% 이상 높이라는 결정이 나왔다. 이에 따라 애초 5천40세대 건립계획은 무산됐다. LH는 지난해 3월 중도위 요구대로 녹지비율을 높이는 지구계획 설계용역을 추진했다. 그 결과 1천600여세대가 줄어든 3천400여세대로 세대수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이 때문에 LH가 세대수 감소를 확정하면 사업을 계속 진행하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LH는 중도위 결정 이후 속도를 못 내고 있다. 건설분야 전문가는 “세대수가 줄어든 것으로 조정되면 LH의 적자가 불가피해 진행이 어려운 만큼 세대수 원상회복과 국비지원을 요구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포천시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지난 4월 LH를 방문, 조속한 사업 진행을 요청했다. 소흘읍 주민들도 불만을 표출하기 시작했다. 포천시 소흘읍 주민 A씨는 “포천시와 LH가 지역개발협약을 맺고 송우지구가 지정될 때만 해도 곧 개발될 것이란 기대감이 있었는데 아무런 조치도, 대안도 없이 시간만 끌고 있다. 시에 문의하면 진행 중이라고만 밝혀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다음달 지구계획을 수립, 국토부에 신청할 예정이다. 세대수가 줄더라도 사업성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국토부와 협의, 합리적으로 판단,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포천시 관계자는 “LH의 사업진행 상황을 검토하면서 정책적인 결정이 필요하면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