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와 가평군, 남양주시가 공동(광역) 화장장 건립에 나선 가운데 입지 등을 놓고 포천시민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13일 포천시 등에 따르면 최근 가평군이 포천시와 남양주시에 3개 시ㆍ군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동 화장장을 건립하자고 제안, 지난 8일 가평군청 대회의실에서 공동 화장장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3개 시ㆍ군 화장률이 90%에 육박하고 있어 화장장 건립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공동 화장장 건립사업은 3개 시ㆍ군이 장사시설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후보지 공모, 타당성 조사, 건립지 결정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2026년 4월 준공할 예정이다. 건립비는 약 510억 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포천시민들의 의견이 찬반으로 갈리고 있다. 찬성 쪽에서는 함께 참여해 화장 비용부담을 줄이자는 의견인 반면, 반대 쪽에서는 화장장이 아직 혐오시설로 분류된 만큼 장소가 결정됐을 때 다시 따져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찬성한다는 시민 A씨는 “포천시 인근에 화장장이 없어 주로 고양, 성남 등의 화장장을 이용하고 있다”면서 “강원도까지 원정 화장을 가는 경우도 많고, 지역민이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화장 비용도 비싸다”고 말했다.
실제 포천시민들은 고양(승화원) 42.3%, 성남(영생원) 36.2%, 춘천(안식원) 4.1%의 순으로 화장장을 이용하고 있다. 예약이 여의치 않으면 속초나 인제까지 원정 화장을 가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비용부담도 만만치 않다. 고양과 성남은 각각 관외는 100만 원씩, 춘천은 70만 원을 받고 있어 경제적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반대하고 있는 주민 B씨는 “화장장 건립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화장장 건립에는 장소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화장장과 인접한 마을 주민들은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다. 최대한 시와 시민들에게 피해가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포천시 관계자는 “공동 화장장 건립에 대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경청하고 꾸준한 협의 과정을 통해 우려를 불식시켜 나가겠다”며 “시민들의 부담을 크게 덜고, 양질의 선진장사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