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가 지난해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된 ‘소래산 첫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이 중단될 기로에 놓였다.
시는 도시재생사업으로 선정된 후, 국토토부의 활성화계획 최종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절차상 문제를 놓고 시 의회가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3일 시흥시와 시흥시의회, 시흥시도시재생센터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9월 경기도시공사와 함께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공모해 ‘소래산 첫마을, 새로운 100년’사업이 선정됐다. 사업기간 4년으로 국비, 도비, 시비 포함, 총 582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으로 국토부활성화계획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지난 6월 시흥시의회 행정감사에서 민주당 홍헌영 시의원이 ‘건물이 낡은데다 주민협의체와 상의가 없었다’는 이유로 시흥극장의 매각을 주문하고 나서면서 중단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사업중에는 시흥극장 재생사업이 포함돼 있고, 시는 시민자산화를 목적으로 5억7천만 원을 들여 시흥극장 건물을 매입했다.
사업 공모에서도 80년대 시민의 문화적 갈등을 해소해 준 시흥의 유일한 극장으로 시흥극장의 복원은 사업선정의 핵심 키워드로 작용한 바 있다.
홍 의원은 “건물 매입과정이 너무 성급하고 유지보수비가 많이 든다”면서 “졸속매입 했기 때문에 재매각해 사업을 일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은 “시흥극장 복원 사업비가 당초 10억원 정도 편성됐던 점을 고려할 때 사업예산을 초과하는 부분도 없고, 낡았다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고장난 부분을 개선하는 것이 도시재생의 궁극적 목적 아니냐”면서 “시흥극장 재생사업은 중단없이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는 실제 해당건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 C등급으로 극장건물 복원과 리모델링 등 비용으로 4억원 정도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와 시의회, 주민협의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해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흥시는 지난 10월25일 순천시에서 열린 ‘도시재생 한마당’에서 ‘소래산 첫마을 새로운 100년’사업의 주민참여프로젝트를 통한 어르신, 어린이 안전구역 디자인으로국토부장관상 및 도시재생협치포럼이사장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시흥=이성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