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조달 방안 해법 못 찾아
LH와 지분 참여 협상 ‘고심’
안산도시공사가 정부에서 발표한 공공주택지구 사업에 20% 가량의 지분 참여를 계획하고 있으나 자금조달방안에 대한 해법을 제대로 찾지 못한 가운데(본보 22일자 12면) LH와의 지분 참여 협상시 난항이 우려돼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안산시와 안산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5월7일 국토교통부가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을 발표하자 경기도는 다음달인 6월20일 관련 회의를 개최한 뒤 신도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경기도형 도시 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경기도시공사의 참여 지분을 확대한다’는 방향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회의에서 구체적인 지분 참여율에 대한 논의는 없었으나 30~50%까지 참여하는 방안이 거론됐다고 알려졌다.
특히 경기도시공사 측은 3기 신도시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관련 기관의 타당성 조사는 물론 도의회 의결 절차 등을 연말까지 마무리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사업 참여에 대한 정확한 지분 참여율이 확정돼야 출자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안산시와는 상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장상 및 신길2지구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안산도시공사가 협상안을 만드는데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안산도시공사 관계자는 “지분 참여에 대한 담보가 확실하게 마련되지 않아 LH와 지분 참여율을 놓고 협상할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난처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100억원 이상 출자시 관련 기관으로부터 타당성 평가를 받아야하고 이를 받지 않을 경우 시의회의 절차상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도시공사가 지분 참여율을 확보한 뒤 자족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시도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윤화섭 시장은 정부에서 안산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 3기 신도시 계획을 발표하자 기자회를 갖고 “정부 차원으로 추진하는 공공택지 사업을 시세 확장을 위한 제2의 발전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한 뒤 “최근 안산스마트허브의 생산성 약화와 인근 개발지역으로 인한 인구 유출 등 시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10년 동안 공공택지 공급이 전무한 실정으로 청년 및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주택 공급이 필요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