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시장도 함께 늘어
환경단체 “규제 마련 시급”
최근 과대포장은 물론 포장재 과다사용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새벽ㆍ당일배송 시장도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소비자 및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최근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식품배송이 증가하면서 새벽 및 당일배송 시장이 확대돼 일회용품 시장의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새벽시장 규모는 지난 2015년 당시 100억 원대에서 지난해 4천억 원 규모로 3년 사이 무려 40배 가까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식품거래액은 약 13조 원으로 전년 대비 28.2% 성장세를 나타냈으며, 이 가운데 농축수산물 거래액은 지난 2010년 6천810억 원에서 2017년에는 2조650억 원 가량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밤에 주문한 상품을 다음날 아침에 받아 볼 수 있다는 장점에 따라 주로 1인 가구 및 Working Mom 등을 포함해 편리함을 추구하는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흥을 얻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 및 환경단체 등은 이같은 새벽ㆍ당일배송 식품의 신선도 유지는 물론 내용물의 안전을 위해 상품을 과대포장하고, 일회용품 및 아이스팩 등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환경부는 지난 1월 과대포장 방지대책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온라인 배송업체는 여전히 일회용품을 사용하고 있어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배송업체의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규제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범정부적으로 추진하는 1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에 역행하지 않도록 새벽배송 업체 등도 일회용품 줄이기에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