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 시민단체 ‘주피터 프로그램’ 의혹 제기에 공식 해명
최근 평택지역 시민단체가 제기한 주한미군 기지에서의 생화학실험 의혹 주장과 관련, 국방부와 주한미군이 “주한미군은 한반도내에서 어떠한 생화학 실험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일 평택시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국방부가 회신한 공문에서 주피터 프로그램은 북한 화생 위협을 탐지, 분석 경고하는 방어용 체계로 이미 실험을 통해 검증된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며 “언론에서 보도하고 있는 국내에서의 생화학 실험과 관계가 없다고 했다”고 밝혔다.
앞서 평택평화시민생동은 지난달 19일 평택시청 앞에서 “평택에 소재한 주한미군기지에서 미군의 생화학무기 실험인 주피터 프로그램을 중단하라”고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또 이종호 평택부시장과 가진 면담에서 평택시 팽성읍 일대의 주한미군기지 캠프험프리스(K-6) 내에서 주피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시는 곧바로 국방부와 캠프험프리스에 주한미군기지에서의 생화학실험실 운영 등에 관한 사실관계 확인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이같은 과정을 거쳐 받은 국방부 회신에는 또 “2015년 탄저균 배달사고 이후 사균샘플 국내 반입 시 관련 정보를 정부에 통보토록 SOFA에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면서 “현재까지 반입된 사균샘플은 없고 주한미군은 주피터 프로그램과 관련해 어떠한 생화학실험도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고 담겨있다.
특히 “주한미군도 국방부에 ‘주피터 프로그램은 화생 위협이 있을 경우 이를 주한미군 및 정부에 조기 경보하기 위한 방어용 체계로 예산평가서상 살아있는 매개체 테스트는 미국 내에서만 수행되고 대한민국에서는 시행되지 않는다’면서 ‘주한미군은 한반도내에서 어떠한 생화학 실험도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혀왔다”고 덧붙였다.
주한미군 관련 문제는 지자체로서 대응에 제도적 현실적 어려움의 제약이 있으나 이번 사안은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만큼 시는 주한미군, 지역 국회의원, 중앙정부 등과 공동으로 시민의 불안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노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평택=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