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무려 500억 원을 투입, 도시숲 조성과 30만 그루 나무심기 등을 통해 미세먼지를 잡는다. 황사 등 환경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미세먼지 없는 청정 평택조성’을 구현하겠다는 강한 의지다.
평택시는 21일 ‘시민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추진 계획 언론브리핑에서 2022년까지 사업비 500억 원을 투입해 30만 그루 이상 나무심기 추진 계획을 밝혔다. 시는 3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소나무ㆍ잣나무ㆍ산철쭉 등 나무 12만 1천 그루를 도심, 하천, 유휴지 등지에 식재했다.
올해는 시민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행사로 오는 29일 남부ㆍ북부ㆍ서부 권역별로 시민 1천500여 명과 함께 미세먼지 저감 우수 수종 1만 5천 그루를 식재한다. 특히, 남부지역은 통복천 유휴지와 공원 내 부지에 소나무ㆍ잣나무ㆍ철쭉류 등 9천400여 주, 북부지역은 이충레포츠공원 녹지 내에 소나무와 잣나무 등 2천600여 주, 서부지역은 안중레포츠공원에 소나무와 주목 등 3천여 주를 각각 식재한다. 시는 2022년 12월까지 최소 30만 그루의 나무를 식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도시숲 조성관리 기본계획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중국과 인접하고 당진ㆍ평택화력발전소, 평택항 대형선박, 각종 도시개발, 자동차 매연ㆍ분진 등 내ㆍ외부적 요인으로 미세먼지 취약 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앞서 정장선 시장은 지난해 10월 김재현 산림청장에게 국비지원을 요청, 바람길숲 조성과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비를 위해 110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정 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세먼지를 비롯해 각종 오염물질로 야기되고 있는 대기오염 문제는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앞으로 나무심기 사업을 범시민운동으로 전개해 점진적으로 100만 그루 이상 나무를 심어 전국에서 ‘도시숲 모범도시’로 손꼽히는 청정도시로 평택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