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 2022년까지 일자리 2만5천개 만든다

시흥시가 지난해 12월 공시한 ‘민선7기 일자리 종합계획’을 통해 2022년까지 일자리 10만 개 창출과 올해 192개 과제 추진으로 일자리 25,058개를 만드는 ‘2019년 시흥시 일자리 목표’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일자리 목표인 19,884명에 비해 5,174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윤희돈 경제국장은 12일 ‘2019년 시흥시 일자리 목표 공시’를 주제로 진행한 언론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일자리 창출 기반 조성을 위해 ‘시흥화폐 시루 확대’, ‘시흥형 마을관리기업 육성’, ‘시화국가산업단지 스마트 산단 구축’의 3대 핵심 정책을 추진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일자리 목표를 계층별로 분류하면 △ ‘청년의 사회진출 지원’ 17개 과제, 1,007명 △ ‘여성의 재취업 촉진 및 고용유지’ 17개 과제, 4,887명 △ ‘신중년·어르신·취약계층 일자리 지원’ 42개 과제, 4,465명 △ ‘전 계층 대상 맞춤형 일자리 창출 및 지원’은 116개 과제 14,699명이다.

유형별로는 △ 임금 또는 수당을 직접 지원하는 ‘직접일자리’ 95개 과제, 4,573명 △ 인력양성, 취업교육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 19개 사업, 1,712명 △ 맞춤형 상담 및 채용박람회 개최 등으로 구인자와 구직자 간 불균형을 해소하는 ‘고용서비스’ 13개 사업, 16,117명 △ 인건비 지원으로 실업자 채용을 촉진하는 ‘고용장려금’ 4개 사업, 240명 △ 물품, 공간지원, 컨설팅 등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지원’ 8개 사업, 340명 △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물적, 인적 ‘일자리 인프라 구축’이 53개 사업, 2,076명이다.

먼저 지난 2월 21일 전국 최초로 출시한 모바일 시루를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쓴다. 올해 목표로 한 200억 시루를 유통할 경우 200여 명의 취업 유발효과가 예상된다.

기존 동네관리소 10개소에 공공사무를 위탁해 마을 일자리를 창출하는 ‘시흥형 마을관리기업 육성’을 통해 현재의 3~4배 규모인 200여 명의 일자리 창출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올해 일자리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과제는 192개이며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 추진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시흥창업센터’와 ‘경기청년협업마을’을 통한 청년 창업?창작 활동 지원, 경력단절 여성의 경제활동 재진입을 위한 ‘새일 여성 인턴제’ 등 각각의 실천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한다는 목표다.

윤희돈 경제국장은 “공공 일자리 창출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해야 한다”며 “각각 지원 과제의 혜택이 온전히 지역 주민께 돌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겠다” 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