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포천 인구감소’ 관외거주 공무원이 한몫

지난 1월 말 포천시 인구는 15만192명이었다. ‘인구 15만 명 붕괴’를 우려한 박윤국 시장은 2월 전 직원 월례조회 때 그동안 만지작거리던 인사카드를 꺼내 들었다. 포천시 외에 주소지를 둔 공무원에 대해서는 승진 인사시 불이익을 주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그러나 박 시장의 으름장은 ‘나 홀로 외침’으로 끝났다. 지난 2월28일 포천시 인구는 14만9천981명으로 15만 명 선이 붕괴되고 만 것이다.

포천이 시로 승격한 2003년 이후 16년 만에 일어난 일이다. 포천지역 인구가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것은 2009년부터다. 매년 1천여 명씩 감소하다가 구리∼포천 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에는 오히려 더 심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는 뒤늦게 심각성을 인식하고 부랴부랴 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침체 위기 등 어려운 대내외적 여건에서 벗어나려고 적극적인 인구유입 시책을 폈다. ‘내 가족 포천 주소 갖기 운동’ 등을 추진(본보 3월1일자 4면)했지만 인구감소는 멈추지 않고 있다.

시는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 시공무원 1천여 명 중 관외 주소를 두고 있는 공무원이 50%대(시측 30%대 주장)를 육박하고 있다. 따라서 관외 공무원만 유입돼도 15만 명 선을 유지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어설픈 계획을 내세우기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 인근 지역에서도 공무원 이탈을 방지하려고 인사 때 인센티브를 부여해 상당한 효과를 봤다는 검증자료도 있다. 이 문제는 전적으로 박 시장의 의지에 달렸다. 공교롭게도 박 시장이 사임하던 2008년 이후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새 시장이 들어서면서 1천여만 ㎡의 신도시 계획을 백지화했기 때문이란 시각도 있다.

그렇다면 박 시장은 주소와 거주지가 관외인 공무원들이 먼저 솔선수범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바꿔야 한다. 공무원들이 솔선수범하지 않고 시민들에게 시를 떠나지 말라고 하는 것은 ‘모순’이다. 시의 환경은 장기적으로는 나아지겠지만, 여전히 최악이다. 공무원들이 관내 전입에 앞장선다면 시민들의 반응도 달라질 것이 분명하다.

“좋은 교육환경에서 자식들을 키우고 싶은 것은 어느 부모나 마찬가지다. 공무원들이 교육환경이 열악하다고 떠나면 시 교육의 명맥을 이어가는 학부모들은 무엇인가”라는 한 젊은 학부모의 일갈을 되새기기 바란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