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업체 소재 이유로 전국 폐기물 평택항 반입 수용 못해
관세청 “환경부·해수부·세관 등 협의… 추가 유입 불가피”
필리핀에서 평택항으로 반입된 불법 폐기물 처리 문제(본보 1월 24일자 6면)를 놓고 환경부 등이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평택시민단체 등이 평택항을 통한 추가반입은 불가하다며 강경 대처 입장을 밝히고 있어 논란이 예고되고 있다. 특히 시민단체 등은 지난 2017년에도 제주항에서 선적한 불법 폐기물이 필리핀에서 문제가 되자 반송하는 과정에서 제주도와 여수시민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평택항으로 반입 됐다며 반발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평택항 반입 절차를 밟고 있는 5천177t 폐기물 처리 문제를 비롯해 지난 3일 들어온 1천211t(컨테이너 51개분량)의 처리 문제가 상당기간 도마위에 오를 전망이다.
6일 환경부와 관세청, 평택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7년 1월 제주항을 통해 필리핀으로 수출한 폐기물 3천531t이 문제가 되자 같은해 5월 평택항으로 전량 반입했다. 당시 정부는 선적 장소인 제주항으로 반입키로 했으나 해당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자 여수항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 또한 여의치 여의치 않자 결국 평택항 반입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평택시민단체 등은 폐기물 수출업체가 평택에 소재하고 있다는 이유로 전국에서 수집한 폐기물을 평택항으로 반입하는 것은 받아 들일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현재 평택항 등에 쌓아 둔 제주도 폐기물과 중국발 미세먼지 등이 시민들에게 큰 피해를 앉겨주고 있는 상황에서 폐기물 추가 반입시 평택항과 평택은 폐기물 대란을 겪을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평택환경시민행동 박환우 공동대표는 “평택항으로 반입된 폐기물의 경우 곧바로 처리가 곤란한 상태여서 각종 해충으로 인한 전염병과 미세먼지 피해가 우려된다”며 “더 이상 폐기물 처리를 평택시에 떠 넘기지 말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도 “평택항으로 유입되는 폐기물의 경우 수출업체 등에 대한 수사를 벌여 처리문제를 결정해야 한다”며 “따라서 소각업체로 향하는 폐기물 외에는 반출을 금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관세청 관계자는 “환경부, 해양수산부, 세관 등이 협의를 통해 문제가 되고 있는 필리핀 폐기물에 대해 평택항으로 반입하기로 결정했다”며 “지난 2017년부터 현재까지 4천742t이 반입됐으며 추가로 5천177t이 유입될 계획이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