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화랑지킴이 모임, ‘안전공원’ 중단 촉구 기자회견
안산시가 2천여억 원의 예산을 들여 화랑유원지(이하 유원지)에 대한 명품화 사업 추진(본보 25일자 11면)을 밝힌 가운데 이를 반대하는 시민단이 기자회견을 열고 추모시설 추진을 중단할 것을 주장하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유원지에 추모시설 건립을 반대하는 모임인 화랑지킴이 회원 50여 명은 28일 오전 10시 안산시청 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특별법으로 인해 국민 세금으로 세월호 납골당(이하 안전공원) 조성이 현실화 됐다”며 “지난 24일 윤화섭 시장이 유원지 명품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다고 자료를 배포한 뒤 다음날 이어진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사실과 다르게 답변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유원지 명품화 사업은 납골당을 끼워 넣고자 기획된 정책이며, 안전공원 추진 25인 위원회는 안산시민을 농락하는 짜고 친 들러리 위원회로 25인 위원회를 기획한 안산시는 사과 하라”고 강조했다. 이어 “세월호 유가족들은 ‘안전공원을 조성해야 국립도서관 및 의료원과 회복센터, 신안산선 지하화 등이 추진되며, 이는 1차에 불과하고 2차, 3차 종합선물세트가 기다리고 있다’고 말한다”며 “말이 국립의료원이고 국립도서관이지 세월호 유가족과 피해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국립의료원이고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고 기록 등을 관리하는 세월호 유가족 전용 도서관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국민 세금 1조 원 가량이 투입되는 유원지 명품화 사업은 추진 배경에 의도가 있다며 ▲유원지 명품화 사업은 안전공원(세월호 납골당)을 끼워 넣기 위해 기획된 위장정책으로 당장 추진을 중단할 것 ▲안산시민을 우롱한 안전공원 추진위를 기획한 안산시는 사과할 것 등 3개 항의 선언을 낭독했다.
한편, 이날 참가자들은 붉은 글씨로 ‘납골당 반대’, ‘화랑유원지’가 쓰인 상여모형을 들고 기자회견장에 들어가려다 시 직원들의 제재로 시청 앞 삼거리 교차로를 순회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