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 대체 부지 확보 표류로 행사·센터운영 어려움
업무 효율성 떨어져 고스란히 학생 피해… 대책 시급
안산교육지원청이 신청사 대체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월세 교육행정(본보 2018년 11월7일 13면)을 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지원청에서 운영하는 각 센터와 교육행사 등이 공간 부족으로 인근 학교 등으로 이전 운영돼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6일 안산교육지원청 및 학부모 등에 따르면 지원청은 지난해 4월 단원구에 소재한 상가건물로 지원청 청사를 임시로 이전해 운영되고 있다. 지난 2016년 5월 ‘(가칭) 4ㆍ16 안전교육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에 따라 단원고등학교 인근에 안전교육시설 설치를 추진하려 했으나 주민들의 반발로 지연되자 현 안산교육청 청사 및 부지를 활용하기로 결정한 뒤 부지를 찾지 못해 이전이 표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원청 내의 공간에서 운영하던 ▲특수교육지원센터 ▲Wee센터 ▲과학실 및 영재교육원 ▲혁신교육협력센터 ▲교육시설과 ▲정보화팀 등이 관내 초등학교 등으로 분산됐다. 이는 업무담당 장학사 또는 타부서와의 업무 협의 및 업무진행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 학부모 네트워크 대표자 간담회나 학부모 동아리 및 아카데미 등의 할동을 외부기관을 대여해서 사용하면서 접근성이 떨어지고 자원봉사자에 대한 연수를 할 경우 외부시설의 주차공간이 협소해 이용에 불편을 겪는 등 민원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교원 연수 및 관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대회를 위한 시설 마저 부족, 효과적인 교육활동 지원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혀내 교육청은 특수교육과정 점검 및 장학 계획 수립과 학생 및 학부모 상담은 물론 전화 및 대면상담 등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영재교육원 교실 운영 및 기자재 대여와 과학실험실과 과학 실험도구 상시 개방 및 활용 그리고 혁신교육지구 학습공동체 운영 등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지원청 관계자는 “지원청 내에서 운영하던 센터를 학교로 이전 운영하면서 주요 업무를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그로 인한 피해를 지역 내의 학생 및 학부모들이 입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