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엄유나
출연: 유해진, 윤계상, 김홍파, 우현, 김태훈 등
줄거리: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 까막눈 판수(유해진)가 조선어학회 대표 정환(윤계상)을 만나 사전을 만들기 위해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과 마음까지 모으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
말을 지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사람들
'말모이'는 주시경 선생이 한일합병 초기인 1911년에 시작했으나, 선생의 죽음으로 미완성으로 남은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를 일컫는 말이다.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기도 하다. 영화의 배경은 1940년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이 극에 달했던 시대의 경성을 배경으로 한다. 전국 학교에서 우리말 사용과 교육이 금지되고, 일본어를 가르치고 배웠던 시대다. 영화 속 사람들은 왜 사전을 만드는 것이 나라를 지키는 일인지 자연스레 공감한다. 관객 역시 그들의 공감에 동조하며 우리가 몰랐던 독립운동의 또 다른 면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택시운전사'의 각본을 썼던 엄유나 감독은 '말모이'에서도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야기로 대신한 엄 감독은 '말모이' 속 까막눈 판수와 사전 만들기에 모든 것을 건 정환을 주축으로 한 여러 인물들을 통해 역사가 결국 위인들이 아닌 보통 사람들에 의해 이뤄진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말모이'를 위해 큰 용기를 냈던 수많은 사람들을 보다보면 감독이 던진 저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자연스레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시 만난 윤계상X유해진, 기대해도 좋아
배우 윤계상과 유해진은 이미 영화 '소수의견'을 통해 한 차례 호흡을 맞췄다. 덕분에 이번 작품에서는 한층 더 입체적인 연기 호흡을 보여준다. 유해진은 전과자 출신의 까막눈을, 윤계상은 독립운동을 하는 조선어학회 대표로 분해 출신과 나이, 성격 등 모든 것이 극과 극이었지만 촬영 현장에선 친형제처럼 훈훈한 모습을 보여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이런 찰떡 호흡 덕분에 모든 것이 달랐던 영화 속 두 사람이 점차 '동지'가 되어가는 모습이 더 큰 감동으로 다가온다.
개봉: 1월 9일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