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축협 가축분뇨시설 ‘民-民 갈등’으로 번지나

축산농가 “축분처리 위해 필요”
일반 주민 “악취·재산권 손실”
건립여부 놓고 찬반 의견 팽팽

안성축산업협동조합이 주민들의 반대에도 현 우석제 시장(당시 축협조합장)과 조합원들의 염원사업이라는 명목 아래 가축분뇨처리장을 재추진해 논란(본보 12월26일 6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일반 주민과 축산농가의 갈등으로 비화될 전망이다.

이는 재산권 손실과 악취, 영농환경을 문제삼는 농민과 축분처리의 시급성을 요하는 축산농민들의 찬반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26일 안성시와 주민, 안성축협, 축산농가에 따르면 축협은 지난 2016년부터 내년까지 안성시 미양면 일원 농림지역에 1일 200t을 처리하는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에 대한 사업계획을 추진해 왔다.

현재 안성지역 15개 읍면동에는 한우 1천412 농가(8만4천626두), 젖소 321 농가(1만4천403두), 돼지 161 농가(35만6천198두), 닭ㆍ오리 93 농가(456만9천750수) 등 모두 1천987농가에 502만4천977두수의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축종별로 가축분뇨는 일일 한우ㆍ젖소가 1천702t (년간 62만 1천230t), 돼지 1천817t (66만 3천205t), 닭ㆍ오리 548t (20만20t)으로 모두 4천67t가 발생한다.

즉 축협이 추진한 1일 200t의 축분시설은 현재 발생하고 있는 분뇨 중 5% 수준에 불과한 셈이다.

결국 축협이 502만4천 977두수의 가축에서 나오는 분뇨 발생량에 비해 턱없는 시설에서 처리하겠다는 계획이 축산농민들의 분뇨처리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축산농민 A씨(56)는 “우분장에 축분을 쌓아 업자에게 돈을 주고 처리하고 있다”며 “일반 농민들은 축산농민의 입장을 헤아리지 못하는 만큼 가축분뇨 처리시설 설치는 꼭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반면 일반 농가에서의 반대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미양면 이장단협의회는 사업부지 인근과 마을 곳곳에 현수막을 내걸고 28일과 31일 시청 앞 1인 시위를 통해 분뇨처리장의 부당함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송영철 미양면 이장단 협의회장은 “오염시설 주변 땅은 냄새로 토지거래도 안 된다. 농민 재산을 축협과 축산농가가 지켜줄 것이냐”며 “면민 모두는 행정을 신뢰하지 않고 주민 스스로 투쟁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분개했다.

이에 축협 관계자는 “가축분뇨장이 건립되면 축협과 상생차원에서 해당 지역인 미양면 축산농가를 우선으로 분뇨를 처리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