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시책으로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지역 정치인들에게 설명하고 도움 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책협의회(이하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으나, 협의 내용이 시정에 대한 성과와 행사일정을 소개하는 비중 많아 정책협의 본질이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협의회 준비부서는 사안이 없는 각 국ㆍ실 등에 회의 자료를 요구, 일상적인 자료를 제출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다.
27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가 시책으로 추진하는 사업을 시ㆍ도의원은 물론 국회의원들에게도 내용을 설명하고 필요할 경우 예산확보 등에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시는 민선7기 들어 시ㆍ도의원들에게는 매월 정기적으로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회의원들에게도 지금까지 두 차례에 걸쳐 현안 사항에 대한 협의회를 실시했다.
그러나 시는 지난 19일과 24일 두 차례에 걸쳐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ㆍ도의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생과 협치의 협의회’에서 회의자료 1번 제목의 경우 시의원에는 시정 주요추진 성과로, 도의원에게는 시정 주요추진 사업으로 ‘성과’를 ‘사업’으로만 변경 했을뿐 모든 회의자료 내용이 똑같아 시차를 두고 실시한 협의회가 형식적인 것 아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지역 정치인들에게 시정 주요 추진 사업을 설명하면서 각 국ㆍ실ㆍ과에서 시에 제출한 주간행사 및 업무 계획 내용 그리고 사업성과 등을 협의회 회의 내용에 포함하고 있어 당초 협의회 취지와 적합 한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회의 내용이 주요행사 일정과 그동안 제기돼 왔던 사업 등에 대한 다양한 사업설명 등의 내용이 수두록, 회의에 참석한 정치인들이 매번 지속되는 회의를 통해 회의 내용을 얼마나 제대로 깊이 있게 이해하고 논의를 했을 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시 관계자는 “시간이 ?기는 장치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정책협의회를 형식적으로 매월 실시하지 말고 주요한 사안이 있을 경우에만 실시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회의를 준비하는 공직자들도 사안이 없는데 관련부서에서는 회의 자료 제출을 요구, 난감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