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해외공연 동행한 ‘정무특보’ 안산시 공직사회 뒷말 무성

안산시장이 국악단의 해외 공연을 격려하기 위한 방문길에 정무특별보좌관(이하 정무특보)이 함께 동행한 것을 놓고 안산시 공직 내부에서 ‘적정성’ 여부를 놓고 말이 무성하다. 이는 최근 정무특보가 본인과 무관한 도시계획위원회에 가입하려다 위원회 내부의 반발로 가입이 무산되는 등 그의 행보가 적절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악단은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등재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에 초청을 받아 일본 4개 도시 순회공연을 하고 있다.

 

윤 시장은 해외 공연길에 오른 국악단을 격려하기 위해 총 600만 원에 달하는 예산을 들여 지난 2일부터 2박3일간의 일정으로 정무특보, 국제협력팀장, 수행비서 등과 함께 고베시를 다녀왔다.

 

그러나 이번 윤 시장의 국악단 격려 방문 길에는 담당 국장이 아닌 임기제 공무원으로 임용된 ‘정무특보’가 동행, 이를 놓고 공직사회의 반응이 냉담하다. 정무특보의 동행 명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란이 공직사회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문화ㆍ예술업무를 담당하는 국장이 아닌 정무특보가 동행하기 때문이 아니겠느냐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정무특보는 지난달 윤 시장이 시의 미래를 위해 유럽 3개 도시를 숨 가쁘게 방문했던 시간에 휴가를 떠나던 것으로 파악돼 그의 역할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시는 민선7기 출범과 함께 정책결정에 대한 보좌를 할 수 있는 전문임기제 공무원을 임용해 공약사항 등 주요 정책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무특보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윤 시장의 일본 방문길에 문화ㆍ예술 및 국제업무 분야가 아닌 공약이행 및 대외협력, 정책결정 보좌역인 정무특보의 동행은 논란을 불러 오기에 충분해 보인다.

 

또한, 정무특보가 ‘안산시도시계획위원’으로 위촉되기 위해 노력을 했지만 위원회의 반발로 무산되자 “정무특보가 아직도 국장인 것으로 오해하는 것 아니냐”는 공직자들의 볼멘 소리가 터무니 없는 소리로만 들리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번 방문은 단순히 국악단 공연 격려에만 한정된 게 아니고 주 고베 대한민국 총영사와의 간담회와 오사카 도심공원 및 전망대시설 벤치마킹도 포함돼 있다”는 시 관계자의 말이 무게감이 없어 보이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그리고 이번 일본 방문길을 통해 정부특보가 가지고 돌아온 보따리는 있는가.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