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서울시와 공격적 협상 필요… 예산 지원 도울 것”
‘드론 시험비행장 유치, 발목 잡는 서울시’ 보도(본보 10월16일 1면)와 관련, 인천시의회가 무산 위기에 처한 드론 시험비행장 유치를 위해 인천시가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시의원들은 16일 드론 시험비행장 유치에 대해 시의회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시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종인 시의회 건설교통위원장(민·서구 3)은 “서울시가 드론 시험비행장을 수도권매립지 협상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서울시의 쓰레기 매립을 허용하지 않는 방안 등 인천시도 공격적으로 협상에 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시의회 차원에서도 서울시의원을 만나서 협상에 나서는 등 비행장 유치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해양항공국 주요예산사업 추진상황 보고 자리에서도 드론 시험비행장 문제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박성민 의원(민·계양구 4)은 “드론 시험비행장을 유치하기 위해 인천시가 어떤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며 “앞으로 다른 지자체, 관련 기관과 협의할 때는 인천시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해달라”고 주장했다.
이어 “드론은 4차산업의 핵심 분야이고 많은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만큼 드론 활성화가 인천에 매우 중요하다”며 “인천이 드론 사업을 선도하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해양항공국에서 관심을 둬달라. 시의회에서도 예산 지원 등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해양항공국장은 “드론 시범비행장이 들어설 부지가 수도권매립지 부근이라 환경부·서울시·경기도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점 때문에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시에서도 드론 산업의 성장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중점사업인 만큼 관심을 두고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드론 시험비행장은 국토교통부에서 드론 사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이미 경상남도 고성, 충청북도 보은, 강원도 영월에 시험비행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드론 산업이 몰려 있는 수도권에도 관련 비행장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를 펼쳐 국토부의 드론 시험비행장 추가 공모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 자격을 확보했다.
하지만,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에 소각로를 세우는 것을 드론 시험비행장 유치 동의 조건으로 내세우면서 사업 추진에 차질을 겪고 있다. 국토부는 수도권매립지 4자 협의체(환경부·인천시·서울시·경기도)의 토지 사용 동의를 받아야 드론 시험비행장의 최종 사업 대상지로 인천을 지정한다는 입장이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