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 중종 22년, 역병을 품은 괴이한 짐승 물괴가 나타나 공포에 휩싸인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 이들의 사투를 그린 이야기.
관전 포인트
1.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괴생명체 '물괴'
영화 '물괴'는 조선왕조실록의 한 기록에서 출발했다. 중종실록 59권에는 중종 22년 6월 17일, 삽살개나 망아지 같은 동물이 달려와 이를 목격한 이들이 고함을 질렀고, 심지어 비린내까지 풍기고 있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를 토대로 영화는 '물괴'를 상상력으로 재창조했고, 전설의 동물인 해태의 형상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영화 속 '물괴'를 탄생시켰다.
2. 크리쳐 액션 사극이라는 새로운 장르
'물괴' 이전에는 '괴물'이라는 한국형 크리쳐 무비가 있었다. 크리쳐 무비란, 상상으로 빚어낸 존재를 다룬 영화를 말하는데, '물괴'는 여기에 사극이라는 장르를 더했다. 덕분에 영화에는 다양한 액션들이 등장한다. 특히 '물괴'를 잡기 위해 필사의 사투를 벌이는 수색대의 모습은 이 영화의 주요 관전포인트. 긴장감까지 더한 '물괴'는 관객들로 하여금 좀처럼 시선을 뗄 수 없게 만든다.
3. 혜리의 도전
'물괴'에 출연하는 배우들 각자가 대단하지만, 그 중에서도 혜리를 눈여겨 봐야 할 이유가 있다. 혜리는 '물괴'를 통해 첫 스크린, 첫 사극, 첫 액션 도전에 나섰다. 영화에서 스스로 터득한 의술과 궁술로 아비를 따라 '물괴' 수색대에 합류한 명 역을 맡은 혜리는 아버지 윤겸 역의 김명민과 남다른 부녀 케미를 자랑했다. 특히 "액션은 제가 조금 잘했다"는 혜리의 자신감은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기에 충분하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