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 기흥사업장에서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로 인해 3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화학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임이자 의원(자유한국당)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 6월까지 총 510건의 화학사고가 발생, 무려 544명의 인명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3년 86건, 2014년 105건, 2015년 113건으로 증가하다가 2016년 78건으로 일부 감소했으나 2017년 87건으로 다시 증가했으며 2018년 상반기에만도 41건을 기록했다. 화학사고 유형의 경우 시설관리 미흡이 21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작업자 부주의 179건 그리고 운송차량사고에 따른 사고 111건에 자연재해에 의한 사고도 8건이나 됐다.
인명피해를 분석해 보면 전체 544명의 피해자 가운데 사망자는 30명, 부상자는 514명에 달했으며, 지역 분포는 경기도가 가장 많은 144건으로 전체의 28%를 차지했고 경북이 56건, 전남 39건, 울산 38건, 충남 37건, 인천 28건, 충북 27건 순으로 나타났다.
임 의원은 “화학사고 발생은 무엇보다 예방과 대응이 중요하며 정부와 지자체가 앞장서 철저한 예방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사고발생 후 철저한 원인 분석을 통해 유사한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며, 최근 삼성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와 같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일이 반복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