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동부고속화도로는 광역노선 당초 계획대로”

지중화 비대위 대책마련 토론회서 미세먼지 축소·방음시설 설치 등 미흡 지적하며 4가지 대안 제시

평택동부고속화도로 도심 통과 구간의 지중화를 요구하고 있는 비상대책위원회가 미세먼지 축소나 방음시설 설치 등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당초 계획했던 광역노선 사업시행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평택시는 지난 5일 시청 종합상황실에서 동부지역의 도로정체 해소를 위한 ‘평택동부고속화도로 민간투자사업’의 원활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토론회를 가졌다고 6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비상대책위원회 및 해당지역주민, 지역구 정치인(국회의원, 도의원, 시의원), 우선협상대상자, LH공사, 관계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동부고속화도로 지중화 비상대책위는 지중화 불가를 비롯해 민원해소 방안으로 제시한 미세먼지 축소나 방음시설 설치 등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4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이어 ▲지난 2008년9월 고덕국제화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 최초 결정시 LH에서 계획했던 광역노선 사업 시행 ▲분당~수서간 도로와 같이 지하화 및 지상화 구간의 연속화 조성 ▲경부고속도로에 인접한 현황도로를 이용한 신규대체 노선 검토 ▲도일교차로~오산시계 구간은 지방도 317호선 삼남대로 구간에 고가차도를 설치해 대체 등 4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시와 우선협상대상자인 한라건설은 이날 제시된 방안에 대해 추가 검토한 뒤 향후 토론회를 다시 개최하기로 했다.

 

동부고속화도로는 평택 소사벌 포스코 더? 아파트 앞~오산시 갈곳동을 잇는 15.37㎞(4~6차선) 구간에 총 4천44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내년 1월 착공, 2023년 4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과 평택시의회가 해당 구간 중 도심 통과 구간 9.9㎞에 대해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사업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평택=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