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치매환자 지원하겠다며 국고 받아 놓고 사업 추진 방치

안산시가 급속히 증가하는 치매 환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의료시설을 개선한 치매 치료 전문서비스 시설을 운영하고자 국비로 사업비를 확보하고도 사업 추진이 지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안산상록보건소 및 안산시립노인전문병원(노인병원)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월 상록보건소 등을 통해 노인병원의 시설과 장비를 보강해 ‘치매안심요양병원(안심병원)’ 운영을 정부에 제안했다.

 

이는 정부가 국정과제로 공립요양병원에 치매전문병동을 확충, 시설 및 가정 등지에서 돌보기 어려운 치매환자를 전문적으로 집중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한데 따른 것이다.

 

시는 같은해 10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치매병원 운영을 위한 승인을 받고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를 사업기간으로 정하고 정부로부터 총 사업비 11억8천700만원 가운데 80%인 9억5천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노인병원을 안심병원으로 위탁 운영할 상록보건소는 총 226병상 가운데 49병상을 행동심리 증상 집중치료 등 맞춤형 치료가 가능한 치매전문 병동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기간을 넘겼는데도 사업은 추진되지 않아 환자들이 필요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치매환자 지원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안산시는 인구 69만9천여명(2016년 기준)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5만5천592여명(상록 3만1천464명, 단원 2만4천128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늑장 행정으로 전체 인구의 10% 가량으로 추산되는 노인들 중 치매 조기검진 및 집중치료 등이 요구되는 환자들이 의료서비스를 제때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날로 심각해지는 치매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예산까지 지원했음에도 사업기간을 넘겨 사업추진이 안 되고 있어 시민의 한 사람으로써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치매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나 가족을 생각한다면 하루라로 빨리 안심병원이 운영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보건소 관계자는 사업추진이 지연된 이유에 대해 “복지부로부터 승인을 받은 뒤 사업을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시설확충 문제와 사업을 추진하는 방향이 변화가 발생하면서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