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국제도시 건설로 이전해야 하는 신풍제지의 근로자와 협력업체 등이 생계보상과 이전비 등을 요구하며 공장 이전을 막아서고 나서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정부가 미군기지 이전에 따라 평택시민 보상차원에서 공사를 벌이면서 회사 측 영업보상 등만 해주고 근로자와 협력업체에는 아무런 보상이 없었다며 생계대책을 위해 법정투쟁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27일 신풍제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LH는 고덕국제도시 건설을 위해 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일대 21만여 ㎡에 소재한 신풍제지의 이전 보상을 마무리하고 토목공사업체를 선정, 공사를 발주한 상태다.
그러나 신풍제지 근로자와 협력업체들이 생계대책 등을 요구하며 이전을 막아서고 있는데다 회사 측도 이전예산 부족 등의 이유를 들어 이전유예를 요구하고 나서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신풍제지 근로자와 협력업체들은 “정부가 미군기지 이전 사업을 추진하면서 평생을 몸담아온 직장을 잃고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근로자들을 배제했다”며 “근로자 등에 대한 이전 대책 없이는 신풍제지 이전은 불가하다”고 주장했다.
또 회사 측도 정부가 5년여 동안 세 차례에 걸쳐 보상금을 지급했지만, 보상금 상당 부분이 공장 이전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회사 운영비로 유입된 상태여서 현재 공장 이전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신풍제지는 중국이 폐지 수입 등을 금지하면서 국내 고지가격이 하락해 매월 수익률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1~2년가량 공장을 가동해 이전 자금을 확보한 뒤 공장을 이전할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현재 공사를 발주한 상태이고 신풍제지가 소재한 곳의 지대가 높아 부지 정리를 위해서는 이전이 시급하다”며 “법적으로 부지와 건축물이 LH 소유인 만큼 강력히 대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신풍제지 이전과 관련해 이전 비용 및 생계대책을 요구하는 협력업체는 100개 업체이고, 근로자는 신풍제지 정규직 및 비정규직 265명과 협력업체 근로자 300여 명 등 모두 565명에 달한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