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2014년에는 보수 3명 진보 1명이 출마한 결과 전교조 인천지부장 출신인 이청연 후보가 31%의 득표율로 교육감에 당선됐다. 나머지 보수 후보 3명의 득표율은 69%였다. 보수지지 유권자 69%가 31%에 진 것이다. 이번 6·13선거도 대동소이하다.
전교조 지부장 출신인 도성훈 후보가 43%로 당선됐고, 보수 2명의 합친 득표율은 56%였다. 이 역시 56%가 반대하는 43%가 당선된 것이다. 교육감은 사립학교 설립 인가권, 공·사립 학교의 지도 감독권과 장관과 공동으로 행사하는 포괄적 지도권을 가질 뿐만 아니라 교직원 임용권을 행사한다. 이같이 막강한 권한을 쥔 교육감이 정치적 편향으로 교권을 휘두른다면 이 나라 교육은 방향타 없이 배가 산으로 갈 것은 뻔한 일이다.
가까운 일본을 보자. 자신들의 과거 침략적 만행을 미화시키고 정당성을 부여해 1억 국민의 통일된 국가관을 형성해 두터운 애국심을 도출해내고 있는 것을 우리는 보고도 당하고 있지 않은가!
교육감 선거는 2007년부터 지금까지 직선제로 치러지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동시 치러진 시·도지사 득표율보다 현저히 떨어진다. 유·초·중·고교생 자녀를 둔 유권자 외 다른 유권자들에게 지금의 현행 교육감 선거제도는 교육감 출마자도 모르고 하는 투표다. 이 같은 깜깜이 선거가 언제까지 지속할 것인가!
한국교원단체연합회는 교육감 직선제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헤친다며 헌법소원을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가장 교육적이어야 할 교육 수장(首將)을 뽑는 선거가 과열 혼탁해지면서 교육정책은 무시된 채 교육이 정치 도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답은 나와 있다. 보수 교육감 후보들이 단일화하지 않으면, 백전백패(百戰百敗)다. 지난 20년간 이를 증명해 준다. 교육감 직선제 10년. 선거 때마다 보수후보 단일화를 위해 보수 인사들로 구성된 단일화 추진 단체가 생겨 각고의 노력을 해오고 있으나 진보진영은 단일화되고 있는 반면 보수진영은 단일화를 실현한 적이 없다.
이번 선거에도 ‘인천 교육을 위한 좋은 교육감 후보 추진위원회’가 발족했다. 종교·교육·문화예술·여성계를 비롯한 인천의 시민단체 등 각계인사 300여 명이 모여 보수후보 단일화를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끝내 단일화를 이루는 데 실패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다. 대통령이나 국회의원도 교육감 정책에 대해 간섭할 수 없다. 그만큼 교육감이 가지고 있는 권력은 막강하다. 세상사 모든 것은 변하기 마련이다. 어떤 형태로든 우리에게 다가올지 모른다. 당선인에게는 축하와 박수를, 낙선인에게는 위로와 격려를 보낸다.
미국의 링컨 대통령의 “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이 새롭게 떠오른다.
김민기 인천언론인클럽 명예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