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판문점에서 극비리에 만나 두 번째 정상회담을 하는 등 파격과 반전으로 한반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파장과 이해득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북미정상회담 향배에 따라 지방선거의 판도가 달라질 수 있어서다.
북미회담 취소 발표 이전에 실시한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이번 지방선거에 ‘꼭 투표할 것’이라는 응답이 4년 전보다 8%p 늘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70%대 초반으로 여전히 고공행진을 기록하고 있고, 민주당 지지율 역시 50%를 웃돌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만 놓고 보면 이번 선거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는 모양새다. 일부에서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대승할 때보다 민주당 분위기가 더 좋다는 평가도 나온다.
여론조사 결과대로 이미 게임은 끝난 것일까? 후보등록일인 지난 24일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조작된 가짜 여론조사가 언론을 통해 기승을 부릴 것”이라면서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감을 강하게 드러냈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금의 여론조사가결과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여론을 호도하고 정치인들의 선거 운동에 악용된다며 ‘여론조사 무용론’을 주장하기도 한다.
통계학 용어 중에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이란 말이 있다. 혹자는 희박한 확률의 사건이 왜 자꾸 나한테 일어날까에 대한 설명으로해석하기도 하지만, 수학적 확률과경험적확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定理)로 통계의 가장 핵심적인 법칙이다.
즉 우연한 사건 내지 결과의 발생을 정확히 예측하기란 불가능하지만 반복되는 수가 많거나 표본 수가 크면 클수록 일정한 수준으로 수렴하게 되고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요즘 이런 통계법칙을 적용하지않고충분히 크지 않은 표본에서 추출한 엉터리 통계와 어설픈 확률이 여론조사라는 이름으로 유권자의 판단을흐리게만들고 있다.
낮은 응답률, 유·무선 전화와 통계보정의 신뢰성문제, 응답자의 정치성향 비대칭성, 설문의 항목과 방식 등여론조사에 대한의심의 눈초리와 불신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일 전 6일부터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는유권자로 하여금 우세해 보이는 쪽을 지지하게 만드는 이른바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불리한 편을 응원하고 투표하게 하는 언더독 효과(underdog effect), 사표방지 심리, 침묵의 나선 효과 등 국민의 진의를 왜곡하고 선거의 공정성을 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613 지방선거가 이제 2주도 채 남지 않았다. 앞으로도 여론조사 공표 금지기간까지 각종 여론조사가 실시된다. 날마다 쏟아져 나오는 여론조사를 외면하거나 무시할 순 없겠지만, 그렇다고 무턱대고 맹신해서도 안 된다.
여론조사는 어디까지나 참고용일 뿐이다.여론조사에 휘둘리지 않고정책과 인물을 꼼꼼히 살펴소중한 자신만의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기를기대해 본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