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취임 이후와 비교했을 때 5천700만 원 증가
김정숙 여사 명의 서울 홍은동 자택 매각… 예금 증가
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이 5천700만 원 가량 늘어난 18억 8천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급여에 따른 수입과 주택 처분으로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문재인 정부 공직자들의 신고 재산 평균은 13억 4천700만 원이었다. 재산 규모별로 분류하면 5억 원~10억 원대가 가장 많았다. 청와대 참모들의 평균 재산은 14억 9천만 원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018년 정기재산변동사항’을 29일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1천711명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이 포함됐다.
문 대통령의 재산은 18억 8천1만 원으로 지난해 8월 취임 후 첫 신고 당시 18억 2천200만 원에서 5천700만원 가량 늘어났다. 문 대통령의 예금은 4억 7천700만 원 늘어났다. 이는 보유했던 홍은동 주택(매입가 2억 8천500만 원)을 3억 4천만 원에 매각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경남 양산의 대지와 제주 한경면의 임야 등 3억 3천700만 원 가량의 토지와 본인 소유의 양산 사저, 모친 강한옥 여사 소유의 부산 영도구 소재 아파트 등 4억 5천300만 원 가량의 건물을 함께 신고했다. 장남은 독립 생계를 이유로 고지가 거부됐다.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진 53명의 평균 재산은 14억 9천700만 원이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해 8월보다 7천300만 원 증가한 5억 700만 원을 신고했다. 늘어난 자산 대부분은 예금으로 약 7천100만 원가량 증가했으며, 증가사유는 ‘급여통장 신설 등 예금잔액 및 보험 단순 증감’이라고 설명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지난해보다 2억 8천300만 원 늘어난 96억 200만 원을 신고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지난해보다 6억 100만 원 줄어든 17억 8천300만 원을 신고했다.
청와대 참모 중 가장 재산이 적은 사람은 김혜애 기후환경비서관으로 총 재산은 8천700만 원이었다.
이낙연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주요 기관장 등 최고위 공무원 29명의 본인과 가족 명의 평균재산은 19억 1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인사는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57억 5천여만 원이었다. 그 뒤로는 서훈 국정원장(37억 6천여만 원), 강경화 외교부 장관(35억 8천여만 원), 문무일 검찰총장(32억 5천여만 원), 박준성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30억 6천여만 원) 등이었다.
20억 원대 신고자는 이성호 국가인권위원장(28억 8천여만 원), 유영민 과기정통부장관(27억 5천여만 원),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23억여 원), 김동연 기재부 장관(22억 6천여만 원), 김영주 고용부 장관(21억 3천여만 원), 정현백 여성부 장관(21억여 원) 등 6명이었다.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인사는 문무일 검찰총장으로 이전 집계대비 8억 원이 늘어났다. 문 총장은 보유했던 아파트를 매각해 예금이 늘었다. 이외에도 박준성 중앙노동위원장은 5억 원, 김영주 고용부 장관은 2억 4천여만 원, 이성호 인권위원장과 이낙연 총리의 재산은 각각 2억 1천여만 원씩 증가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