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해외사업부문 사장 만나 논의… 조속한 실사 합의
정부가 방한한 배리 엥글 제너럴모터스(GM) 본사 해외사업부문 사장을 만나 경영난에 빠진 한국GM의 회생을 위한 지원방안 협의에 들어갔다.
정부는 GM에 경영정상화 지원 여부 검토를 위한 3대 원칙을 제시했고 경영정상화 방안을 정부에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GM은 정부가 제시한 3대 원칙이 합리적이라고 평가하는 한편 이른 시일 내에 공식 채널을 통해 경영정상화 방안을 제출하겠다고 약속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2일 오전 엥글 GM 본사 해외사업부문 사장과 회동했다.
고 차관과 엥글 사장은 GM이 제시한 한국GM 회생을 위한 지원요구안을 놓고 협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 차관은 GM이 전날 산업은행과 외부 기관으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정하고 조속한 실사를 개시하기로 합의한 것과 관련, 투명하고 엄격한 실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고 차관은 특히 한국GM에 대한 경영정상화 의지와 구체적인 회생계획에 대해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또 한국GM에 대한 28억 달러의 신규 투자에는 조건부로 참여하되, 27억 달러 상당의 출자전환 참여요청은 거부하겠다는 방침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GM이 한국GM에 빌려준 27억 달러 상당의 대출금을 출자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데 대해 정부와 산은은 높게 평가하고 있다”면서 “다만 산업은행이 17% 보유지분 만큼 증자에 참여하라는 요청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출자전환은 지금까지의 부실을 처리하는 문제인데, 산은이 한국GM의 경영부실을 책임질 이유가 없다”면서 “본사에서 차입해 쓰던 돈을 회수하면서 모자란 돈을 산은에 메우라는 식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도 이날 오후 엥글 사장을 만나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지원 방안과 장기 투자 플랜 등을 논의했다.
엥글 사장은 우선 한국GM 공장에 대한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등 인센티브 지원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법제상 외국인투자 지역으로 지정되려면 제조업 3천만 달러, 연구개발(R&D) 200만 달러 이상 투자 외에 시설 신설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한국GM은 이를 맞추기 쉽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산업부는 GM이 제시할 투자 계획 등을 검토하면서 외국인투자 지원 관련 묘안을 모색해 나갈 방침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