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평택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한 대중교통 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졌다.
평택시는 15일 정상균 부시장과 시의회, 학계 및 전문가, 관련 부서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분야별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해 검토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평택시 맞춤형 빅데이터 분석사업’ 완료보고회를 열었다.
이 사업은 시가 보유한 공공정보 및 외부 민간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수집해 민원, 대중교통, 관광·축제 분야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민원 분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시가 보유한 10만여 건의 데이터를 수집했고 분석 결과 불법주차·공사소음·버스불편·불법 광고물 순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됐다.
지난 2016년부터 스마트폰 등(생활불편신고 앱)을 이용한 모바일 민원이 급증됐다. 대중교통 버스(교통카드이용 승객)분야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하루평균 11만건(마을버스 및 현금결재 제외)의 승차건수를 보였다.
승객별로 일반은 83%, 청소년 15%, 어린이 2% 등의 이용 건수를 나타냈다. 특히 효율적인 버스운행정책 지원을 위해 탄력배차제, 환승편의시설, 노선중복도, 대중교통 사각지대, 통근수요 등을 분석 추진했다.
정상균 부시장은 “지속적인 빅데이터 분석 수요 및 추진을 통해 데이터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정책이 마련돼 시민의 삶이 더욱 발전적이고 풍족해 질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평택=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