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따리상 대부분 60대 극빈층 잘못된 정책에 생계까지 위협”
“대한민국 정부는 누구를 위한 정부인지…. 잘못된 정책이 국내 노인 일자리를 없애고 있습니다. ”
5~6천 명에 달하는 평택항 보따리상들은 올해 유난히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다. 중국을 오가는 배로 짐을 옮겨주고 삯을 받는 심부름꾼인 이들은 뱃속에서 한 달 내내 지내며 겨우 50만 원 남짓한 돈을 벌고 있다. 더구나 대부분 60대 이상 극빈층이다. 여기에 최근 시작된 ‘여행자ㆍ승무원 등의 휴대품 물량 축소 시행’이 이들의 어깨를 더 무겁게 하고 있다. 여행자 1인이 면세 범위 내에서 반입 가능한 농축산물 및 한약재의 총량이 50㎏에서 40㎏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평택항 보따리상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오관영 평택항 소무역연합회장(45)은 “승선까지 포기하며 눈물 어린 호소를 하고 있지만 누구도 들어주지 않고 있다”며 울분을 감추지 못했다.
오 회장은 “보따리상들은 한결같이 ‘운임 조건을 맞추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들이 승선을 포기하는 것은 일자리를 잃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더욱이 사드 보복 여파까지 이어지면서 갖은 수모를 겪지만, 한국 정부는 뚜렷한 항의 한마디 없다”고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특히 오 회장은 “정부가 적폐청산을 외치는데 서민들을 위한 적폐청산은 언제 하는 것이냐.
소무역상도 대한민국 국민인데 정부가 수천 명에 달하는 소무역 상인들을 범법자로 내몰다 못해 이제는 생계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정부가 이번에 실행한 여행자ㆍ승무원 등의 휴대품 물량 축소 시행은 중국 소무역상들만 활성화 시키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평택항에서 중국을 왕래하는 소무역상들은 수년 전만 해도 한국인이 80% 이상이었으나 현재는 중국인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회장은 해결책으로 쿼터제를 제시했다. 소무역상들이 1년간 수입하는 농산물이 정부가 대기업 등에 부여하는 수입 쿼터에 5~6%밖에 되지 않는 만큼 소무역상에게 쿼터를 부여해 달라는 것이다. 오 회장은 소무역상인을 범법자로 보는 일부 시선에 대해서도 “이는 휴대품으로 들여온 농산물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 때문”이라며 “수입되는 농산물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고 합법화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호소했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