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시비 의존… 어르신 학생들 15만~35만원 입학금 부담
교육 당국이 경제적 어려움 등 개인적인 사정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친 주민들에게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교육시설 설립을 인가한 뒤 보조금 등을 지원하지 않고 있어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12일 경기도 교육청 및 용신학교 등에 따르면 지난 1987년 1월 김진한씨(83)가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제도권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성인과 청소년 등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시설인 ‘용신학교’ 설립 인가를 도 교육청으로부터 받았다.
용신학교는 성인문해교육과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및 평생학습 계좌제와 연계한 고교 과정 등에 대한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3년부터는 3단계로 구분된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에 한해 심사를 거쳐 교육장으로부터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학력을 인정받은 학생은 올해 초등 9명과 중학 32명 등을 포함, 지난 2013년부터 올해까지 초등 62명에 중학 81명 등에 이르고 있다. 현재는 170명이 초등 심화과정 및 초등ㆍ중등 학력인정반 등에서 수업받고 있으며, 어려운 가정환경 등으로 교육의 기회를 놓친 50~70대 학생들도 낮에 교육받고 있다.
그러나 초등ㆍ중등과정을 배우기 위해 어렵게 선택한 학교에서 초등은 15만 원, 중등은 25만~35만 원의 입학금을 받고 있어 학생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도교육청은 문자해득교육 등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은 채 국비와 시비 등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도비도 지난 2010년을 마지막으로 지원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학교 측 관계자는 “여건상 입학금을 받지 않고는 운영이 어려워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