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신항만 건설 기본 계획에 11개 항목 평택·당진항 개발 건의
국제여객터미널 내항 이전 시 터미널부지와 컨테이너 야적장·서해대교 밑 공원용지 등을 합쳐 15만8천㎡ 규모의 항만 친수시설 조성 등 평택ㆍ당진항(평당항)의 해양레저문화 기반 인프라 조기 확충 등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7일 시에 따르면 시는 해양수산부가 내년 말까지 확정할 예정인 신항만 건설 기본계획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1개 항목의 평당항 개발계획 반영을 건의했다고 7일 밝혔다.
건의 내용은 ▲해양레저문화 기반 인프라 조기 확충 ▲2종 항만 배후단지 조기 개발 ▲국제여객터미널 주변 항만 친수시설 조성 ▲아쿠아 벨벳 프로젝트(항만배수로 정비) ▲평당항 입출항 항로 안전성 확보 ▲부두기능 재배치 ▲화물자동차 주차장 확보 ▲배후 수송망 조기 확충 ▲항만개발 재정투자 지원 확대 ▲근로자 복지회관 건립 ▲소형 선박 접안시설 설치 등이다.
시는 건의서를 통해 평당항 바닷가 21㎞ 구간은 부두·발전·군사 시설로 이용되고 있어 일반인이 바다를 접할 수 있는 친수공간이 없다고 지적, 국제여객터미널이 내항으로 이전하면 터미널부지와 컨테이너 야적장·서해대교 밑 공원용지를 합쳐 15만8천㎡ 규모의 항만 친수시설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양레저문화 기반 인프라 구축을 위해 2종 배후단지 건립 시기에 맞춰 소형 선박 접안시설을 설치하고, 평당항의 입출항 선박(지난해 1년 동안 평균 2만여 척)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항로 폭 확장과 입출항 항로 분리 등도 요구했다.
항만구역 내 화물주차장 부족으로 도로변에 불법 주정차가 심해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 항만 배후단지에 주차장 설치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평당항의 중단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해 해양수산부의 신항만건설 기본계획에 내용이 포함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평택=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