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교권] 중. 교권 회복 ‘두 목소리’

“무너진 교단 바로세워야” vs “학생인권 침해 우려”

최근 학교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을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교권 붕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아서는 안된다’는 말을 중심으로, 우러러 볼수록 높은 스승의 은혜를 이야기하던 시절은 2017년 학교 현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16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담한 교권침해 사례는 572건이었으며, 가해자 중 46%가 학부모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에는 학교를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학점이수 기관 정도로 여기는 학생들의 인식이 만연해지면서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엇갈린 견해가 나오고 있다.

 

일부 학부모들은 교권이 바로 서야 아이들의 미래가 더욱 밝다고 주장하며 교권 확립을 위한 시민운동에 나서고 있다.

 

인천지역에서 교권 바로 세우기 시민단체 결성을 준비 중인 A씨(47)는 “요즘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교권침해 사례를 보면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일이 맞나 싶을 정도로 부끄러운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는 “내 아이라고 해서 무조건 옳다고 감싸기 보다는 학교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아 사회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게 진정한 부모의 역할”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권위가 제대로 자리 잡아야 하고 이를 통해 아이들의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가정에서부터 먼저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인천지역에서 교권 바로 세우기 운동본부 설립을 준비하고 있는 박위강 푸르미가족봉사단장 역시 “더이상 추락할 곳이 없을 정도로 떨어진 교권을 어떻게든 바로 세워야 우리의 교육이 제대로 갈 수 있다”며 “많은 학부모들이 이런 의견에 공감을 해 함께하고 있는 만큼 교권 확립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들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교권의 비대가 곧 학생들에 대한 인권침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반응도 있다.

인천 계양구 B고교 2학년 아이를 둔 C씨(45)는 “과거 교권이 학생 인권보다 강조되던 시기에는 지도 명목으로 선생님이 아이를 폭행하는 등 많은 문제들이 발생했다”며 “이러한 부분들을 막기 위해 학교 내에 다양한 학생 인권 장치들을 마련했고, 그 장치를 바탕으로 아이들을 지도하면 되는 문제인데 또 다시 과거로의 회기를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인천 서구 D중학교 1학년 아이를 둔 E씨(47) 역시 “아이들이 잘못했을 때 잘 타이르고 선도하는 것이 교사가 해야 할 역할 아니겠느냐”며 “교권이 땅에 떨어져 아이들 통제가 안된다고 하는데, 아이들이 과연 통제의 대상인지, 떨어진 교권이 체벌 등을 금지하고 학생 인권을 확보하려는 일선의 노력 때문인지는 제대로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