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운영대책 마련 토론회
민간 대체사업자 선정은 성급
수도권 광역교통망 연계도 제안
민간 대체사업자를 선정하더라도 25년 장기 협약을 맺을 게 아니라 변화는 교통환경에 맞게 협약 내용을 신축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3~5년 단위로 추진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31일 의정부 예술의 전당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경전철 파산과 원인, 효과적인 운영대책 등을 마련하기 위한 토론회에서 김상철 나라살림연구소 책임 연구위원은 “의정부시가 한번 실패한 민간사업자방식으로 가는 게 의심스럽다”며 이처럼 주장했다.
김 위원은 이어 “한 연구원의 연구 결과(의견)만 듣고 민간 대체사업자 방식으로 성급히 방향을 결정하기보다 재정사업 검토(직영)를 비롯해 부천 7호선 지하철과 같이 기존 수도권 광역교통망에 접속해 운영하는 방안 등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시갑 바른정당 의정부을 당협위원장은 “이익이 목적인 민간 대체사업자와 계약 시 종전 불리한 실시협약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들어 실시협약을 맺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철 민주당 의정부을 당협위원장은 “경전철 활성화를 위해 마을버스를 준공영제를 토대로 경전철역을 오가는 셔틀버스로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주문했다.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정부는 민간 대체사업자 선정은 운영에 손해가 나면 보전해주는 SCS방식으로 2천억 원을 갖고 오면 25년 동안 원금과 이자 등을 나눠 갚으면서 운영비를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검토하고 있다. 재정 투자를 최소화하고 매월 120만 명이 타는 경전철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김환철 경민대 교수 사회로 이의환 의정부 경전철 시민모임 정책국장 등 4명이 안병용 시장에게 의정부 경전철 파산과 원인, 파산 이후 의정부 경전철 운영 대책과 소송문제, 의정부 경전철 문제 해결을 위한 앞으로 계획 등에 대해 질문하고 답변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의정부=김동일ㆍ조철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