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안타까운 죽음 계기
비정형 거주시설 관리 강화
남양주의 한 다리 밑에서 텐트를 치고 살던 50대 노숙인이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에 떠내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 관할당국이 10년간 이 노숙인을 방치했다는 지적(본보 8월22일자 6면)이 나온 가운데 남양주시가 노숙인이나 움막형 거주지, 비닐하우스 등 비정형 시설에 거주하는 복지 사각지대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전수 조사에 나선다.
시는 22일 오전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전날 발생한 ‘노숙인 사망사건’을 계기로 8개 권역별 행정복지센터가 ‘비정형 거주시설’에 대한 일제 조사에 돌입키로 결정했다.
시는 숨진 A씨와 같은 움막형 거주지나 비닐하우스 등 비정형 시설에 거주하는 시민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비상연락망을 정비해 유사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응에 나서는 등 관리ㆍ감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희망케어센터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시설별 연계를 확대하고 공무원과 민간인, 복지넷 위원 및 희망매니저 등 자원봉사자를 ‘수시 관찰자’로 지정,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을 지속적으로 돌볼 수 있게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경찰과 소방 당국 등 관계 기관과의 연계 시스템도 강화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폭염에 대한 조치와 앞으로 다가올 겨울철 위험요소도 사전에 제거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지난 21일 0시30분께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교 아래에서 텐트를 치고 10년간 거주한 노숙인 A씨가 이날 집중호우로 떠내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