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복지계에 행정·무보직 발령… 안산시, 이상한 인사

안산시가 정부의 복지정책과 제대로 보조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단행된 인사를 통해 복지분야에 사회복지 공무원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해 정부 시책에 따라 늘어나는 복지수요와 복지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동사무소 25곳 가운데 복지수요가 많은 4곳을 시범적으로 맞춤형 복지센터로 지정하고 운영에 나섰다.

 

정부는 좀 더 촘촘하게 복지 수요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맞춤형 복지계’ 운영을 추진하고 나섰고, 시도 기존의 복지센터를 제외한 동사무소 9곳에 복지계를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지난 1일자로 승진 130여 명과 전보 등을 포함, 모두 800여 명이 넘는 인사를 단행했다.

 

그러나, 이번에 단행된 인사를 통해 복지계에 행정직이나 무보직 공무원들을 발령, 정부의 복지정책이 뿌리를 내리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음을 예고했다.

 

특히, 복지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단원구 A동사무소에 사회복지직인 B 사무관을 발령했다. 시는 이전에도 “다음 인사에는 이를 반영하겠다”던 약속을 저버리고 B 사무관을 복지 수요가 적은 동사무소에 그대로 유임시킨 바 있다. 시의 인사 기준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C동사무소 맞춤형 복지직에 배치된 D 계장도 지난해 2월 뇌출혈 수술을 받은 뒤 회복을 위해 1년간 휴직(병가) 기간을 거쳐 지난 4월 업무에 복귀했으나 아직도 건강이 제대로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복지사각지대 발굴 등 3개 동사무소의 10여 개 복지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하는 자리로 전보됐다.

 

상록구청에서 사회복지직으로 근무하던 E 공무원은 이번 인사에서 상대적으로 복지수요가 적은 A 동사무소로 배치하려 했으나 B 동장의 반발로 결국 다른 동사무소에 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는 모름지기 적재적소에 배치돼야 한다.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복지 관련 부서에서 근무해야 대주민 행정서비스가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래야 ‘인사가 만사’라는 논리도 입증할 수 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