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국제신도시 내 한복판에 위치한 군부대 탄약고로 인해 도로 개설이 늦어지는 등 도시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25일 평택시 등에 따르면 고덕국제화계획지구내 탄약고 담장을 지나는 시도 13호선(4차로)과 지방도 302호선(2차로) 등을 폐쇄키로 하고 왕복 8차로 대체도로(길이 2㎞) 개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군사보호시설인 군부대 탄약고 때문에 공사하지 못하고 있다.
대체도로는 고덕국제신도시(1천342만1천여㎡)를 중심으로 서쪽에 위치한 화성∼평택 고속도로 어연IC와 동쪽에 있는 평택∼제천 고속도로 송탄IC를 잇는 도로로 동쪽의 국도 1호선과도 만난다.
더구나 이달 말 가동을 앞둔 세계 최대 규모의 평택 삼성반도체 공장의 주요 진입로로 활용되고 있어 도로 개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군부대 측은 관련법에 따라 탄약고의 최대 폭약량을 기준으로 폭발에 따른 안전거리를 계산해 신설 도로는 726m, 주거시설은 1천210m 거리를 유지하거나 용역 결과를 충족하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폐쇄되는 2개 도로는 탄약고 담장을 끼고 지나고 있으며 신설되는 대체도로는 탄약고에서 86∼265m 떨어져 있다.
이에 시와 LH는 지난 1∼4월 (사)한국방재안전학회에 탄약고 폭발 영향 검토 용역을 의뢰, 탄약고 주변에 높이 5m의 토사 방호둑을 설치하면 폭풍압과 폭발 진동으로 인한 행위허가 관리기준을 통과할 수 있으나 폭발에 따른 파편에 대해선 기준에 부합하는 안전장치가 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시는 이에 따라 파편에 따른 안전성 확보방안으로 대체도로 교통량 축소, 토사방호 둑 높이 5m 추가설치 및 나무숲 조성, 도로 차단시설 설치 등을 제시한 상태다. 하지만, 군부대 측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과 시행령에 따른 ‘탄약 및 폭발물 안전관리 기준’에 맞춰 대체도로를 파편으로부터 안전한 터널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 2013년 착공한 고덕국제신도시1단계 407만㎡는 내년 준공을 목표로 지난달 말 현재 공정률 65%을 보이고 있고, 2단계 400만㎡는 오는 2019년, 3단계 536만㎡는 오는 2020년 각각 준공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