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는 지역 특색을 살린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28일 사회적 경제ㆍ마을공동체 지원센터에서 사회적 기업 지정을 희망하는 지역 기업 대표들을 대상으로 종합 컨설팅을 진행했다.
이날 컨설팅에는 예비 사회적기업을 준비하는 기업 7곳과 인증을 준비하는 1곳 등이 참여해 인증요건, 마케팅전략, 재무·회계, 경영전략 등을 지원받았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ㆍ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한다. 특히 영리 기업이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데 반해, 사회적 기업은 사회서비스의 제공 및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 영리 기업과 차이가 있다.
현재 지역의 사회적 기업으로는 건물위생관리용역 청소전문 기업인 ‘청인’, 복사용지ㆍ화장지ㆍ나무젓가락 등을 생산하는 ‘삼우보호작업장’, 간병전문 기업인 ‘평택돌봄사회서비스센터’, 이동스팀세차 커피판매 등을 주력으로 하는 ‘다님길’ 등 4곳이 운영되고 있다.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는 중고 핸드폰 판매ㆍ과자제조 기업인 ‘지구별’, 친환경 스팀 세차 기업인 ‘차오름협동조합’, 송화버섯과 유정란 판매 기업인 ‘미주농원’, 국악공연 기업인 ‘퓨전국악 앙상블 秀’, 체육실기 모의고사 기업인 ‘국민체력진흥평가원’ 등 5곳이 활동하고 있다.
한편, 사회적 기업이 되기 위해선 조직형태, 조직의 목적 등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정한 인증요건에 부합해야하고 인증된 사회적 기업에 대해선 인건비, 사업개발비, 4대 사회보험료 지원 및 융자지원,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한 경영지원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평택=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