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 파산신청 해놓고 GS건설, 신규 경전철에 ‘눈독’

위례~신사선 주간사 참여… 시민단체 “돈만 좇는 기업” 비난

▲ r경전철1 (2)

파산신청을 한 의정부 경전철㈜ 주간사인 GS건설이 사회적 책임은 도외시하고 ’돈만 좇는 기업’이란 비난이 시민단체와 시민들을 중심으로 거세지고 있다. 

12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의정부 경전철㈜가 주장하는 지난 2015년 말 누적손실 3천200억 원 가운데 2천200억 원은 관리운영권 가치 감가상각액이고, 현금손실은 1천억 원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대출 원리금 상환 600억 원을 빼면 실제 손실은 400억 원 정도로 분석했다. 이는 총사업비 6천767억 원의 건설 시공 이윤을 감안할 때 손실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국정감사에선 지난 30년 동안 각종 민자사업 시행자로 나선 건설사들이 공사비를 부풀리는 방식으로 공사단계에서만 적정이윤의 5배에 달하는 이익을 챙겨온 것으로 드러났다. 시는 이처럼 건설단계서만 막대한 이익을 챙긴 것으로 판단되는 GS건설이 의정부 경전철은 중 후반부에 이익이 발생하는 구조임에도 초반 적자를 이유로 파산을 신청하는 것은 파산제도를 악용, 해지 시 지급금을 챙기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30년 운영 책임이 있는 의정부 경전철㈜ 주간사로 공익적 피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무책임한 행위라는 것이다. 여기에 파산신청 불과 10여 일 만인 지난달 24일에 위례~신사선 경전철 민간투자사업에 주간사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돈만 좇는 먹튀 기업’이란 비난이 확산되고 있다. 위례 신사선은 의정부 경전철의 2배가 넘는 1조4천억 원 규모로 수익과 손실을 지자체와 시행사가 적정비율로 분배하는 구조다.

 

김만식 의정부를 사랑하는 모임 의장은 “GS건설이 시공이윤을 챙긴 뒤 의정부 경전철㈜가 적자가 나니 재투자나 경영개선 노력 없이 앞장서 공중분해시킨 뒤 파산제도를 악용해 사실상 도망치는 것이다. 해지 시 지급금을 지급해서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정부 경전철 시민모임도 “사업비가 과도하게 부풀려졌다. 

만약 해지 시 지급금을 물어줘야 한다면 건설비를 포함한 총사업비 공개검증을 한 뒤 부풀려진 사업비를 차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정부시 15개 동 주민자치협의회도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GS건설의 도덕적 해이를 규탄하고 협약상 30년 운영의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