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TF팀 구성 대책마련 동분서주
시의회는 성명서조차 하나 없어
의정부시가 의정부 경전철㈜의 파산 신청으로 인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초비상인 가운데, 시의회가 정부에 대한 대책 요구나 공적 책임을 외면하고 있는 의정부 경전철㈜에 대해 성명 하나 내지 않고 나 몰라라 하고 있다.
9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의정부 경전철㈜가 지난달 11일 파산을 신청한 뒤 다음 날 경전철 위기대응 TF팀을 구성하고 5개 팀 28명으로 비상대책상황실을 꾸려 주말이나 휴일도 없이 운영하면서 후속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특히, 지역 주요 인사를 초청해 파산신청현황과 앞으로 대응계획을 설명하고 파산신청의 부당성과 법적 대응, 파산 시 재원조달 방안, 앞으로 경전철 운영방안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자문을 구하고 있다.
2천200억 원의 해지 시 지급금을 지방채를 발행, 지급해도 재정 운영에 지장이 없고 의정부 경전철 운행이 중단되는 일은 없음을 시민들에게도 적극 알리고 있다.
이와 함께 파산신청은 사업시행자가 경전철 운영 정상화를 위한 재투자나 경영개선 노력 없이 과다한 손실을 주장하며 파산제도를 악용, 30년 동안의 운영 의무를 저버리고 일정 금액의 해지 시 지급금만 노린 행위로 기각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반해 시의회는 지난달 20일 열린 임시회를 통해 파산신청 원인과 책임 규명을 위해 의회 차원의 조사특위를 구성하자는 주장에 대해 “현재의 문제 해결이 우선돼야 한다”고 의견이 맞서면서 논란을 빚었을 뿐 파산신청 한 달째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의회가 아무런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는 건 직무유기다. 경전철 건설에 책임 있는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성명서라도 내야지 않는가. 현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도록 방향을 모색하고 원인도 규명할 수 있도록 시와 시민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장수봉 시의회 부의장은 “선 대책 후 책임 규명이라고 본다. 특위 구성을 포함해 의회 차원의 대책방안을 놓고 의장단이 이견을 조율 중이다. 조만간 가시적인 움직임을 내 놓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